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강화학파 이충익 특집 / 8 손자 이시원)
역사야톡
2021. 12. 26. 19:5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강화학파 이충익 특집 / 8 손자 이시원)
유서(遺書) / 이시원
나라가 도탄에 빠졌을 때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하지 않겠는가
내 비록 지방의 향리고
오갈 곳 없는 늙은이지만
나라의 녹을 먹었던 사람으로서
후세 사람들이 부끄럽지 않게
해야 하지 않겠는가
이시원은 이충익의 손자이며 이면백의 아들이고 이상학의 부친이자 이건창의 조부이다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정6품 성균관 전적에 이어 정5품 홍문관 교리가 되었다 암행어사로 곳곳을 순시했고 종2품 대사헌, 종2품 개성유수, 정2품 이조판서, 정2품 정헌대부 등을 역임했다
이시원은 78세의 고령으로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 군대에 의해 강화성이 함락되어 관원들이 모두 달아나자 울분을 참지 못하고 동생 이지원과 함께 절명시를 남기고 자결했다 사후에 정1품 영의정에 추증됐다
이시원의 유서는 고종에게 전해졌고 병인양요로 고통을 받은 강화부 백성을 위해 별시문과를 실시했다 조부 이시원의 순국을 목격했던 손자 이건창이 장원으로 급제했다 이건창은 조부 이시원의 유서의 질미명진에서 당호 명미당(明美堂)을 지었다
병인양요는 흥선대원군이 천주교를 탄압한 병인박해를 빌미로 프랑스가 조선을 침략한 사건이다 로즈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점령했고 조선군의 반격으로 철수했다 병인박해는 프랑스 선교사 등 천주교 신도 8천여 명을 처형한 사건이다
질미명진(質美明盡)은 양명학의 원류로 평가받는 북송의 유학자 정호(程顥)가 쓴 문구이며 ‘부귀도 뜻을 바꿀 수 없나니 빈천해도 즐거워라 남아가 이 경지에 이르면 진정 호웅이 아니랴’는 뜻이다
강화학파는 노론에 의해 정계에서 쫓겨난 소론의 정제두가 창시한 양명학자를 말한다 이광사를 비롯해 이광명 이광현 이충익 이시원 이건창 정인보 이시영 등이 대표적인 강화학파이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이충익특집 #이시원
유서(遺書) / 이시원
나라가 도탄에 빠졌을 때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하지 않겠는가
내 비록 지방의 향리고
오갈 곳 없는 늙은이지만
나라의 녹을 먹었던 사람으로서
후세 사람들이 부끄럽지 않게
해야 하지 않겠는가
이시원은 이충익의 손자이며 이면백의 아들이고 이상학의 부친이자 이건창의 조부이다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정6품 성균관 전적에 이어 정5품 홍문관 교리가 되었다 암행어사로 곳곳을 순시했고 종2품 대사헌, 종2품 개성유수, 정2품 이조판서, 정2품 정헌대부 등을 역임했다
이시원은 78세의 고령으로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 군대에 의해 강화성이 함락되어 관원들이 모두 달아나자 울분을 참지 못하고 동생 이지원과 함께 절명시를 남기고 자결했다 사후에 정1품 영의정에 추증됐다
이시원의 유서는 고종에게 전해졌고 병인양요로 고통을 받은 강화부 백성을 위해 별시문과를 실시했다 조부 이시원의 순국을 목격했던 손자 이건창이 장원으로 급제했다 이건창은 조부 이시원의 유서의 질미명진에서 당호 명미당(明美堂)을 지었다
병인양요는 흥선대원군이 천주교를 탄압한 병인박해를 빌미로 프랑스가 조선을 침략한 사건이다 로즈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점령했고 조선군의 반격으로 철수했다 병인박해는 프랑스 선교사 등 천주교 신도 8천여 명을 처형한 사건이다
질미명진(質美明盡)은 양명학의 원류로 평가받는 북송의 유학자 정호(程顥)가 쓴 문구이며 ‘부귀도 뜻을 바꿀 수 없나니 빈천해도 즐거워라 남아가 이 경지에 이르면 진정 호웅이 아니랴’는 뜻이다
강화학파는 노론에 의해 정계에서 쫓겨난 소론의 정제두가 창시한 양명학자를 말한다 이광사를 비롯해 이광명 이광현 이충익 이시원 이건창 정인보 이시영 등이 대표적인 강화학파이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이충익특집 #이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