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다시 생각하는 이솝우화 특집 / 13 어린 도둑과 어머니)
역사야톡
2022. 1. 18. 19:5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다시 생각하는 이솝우화 특집 / 13 어린 도둑과 어머니)
어느 마을에 과부가 아들을 키우며 살았다 아들은 학교에서 공책을 훔쳤으나 어머니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아들은 시장에서 과일을 훔쳤으나 어머니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아들이 자라면서 도둑질은 나이만큼 커졌다
마침내 아들은 큰 도둑질을 하다가 붙잡혀서 재판정으로 끌려갔다 아들은 어머니에게 한마디만 할 수 있도록 재판관의 허락을 받고 어머니의 귀를 깨물었다 청중들이 아들의 불경스러운 행위를 비난하자 아들은 말을 하였다
’내가 도둑이 된 원인은 이 어머니입니다 왜냐하면 만약 내가 작은 도둑질을 했을 때 어머니가 나를 채찍질해 주었다면 젊은 나이에 법정에서 처형을 기다리는 범죄자가 되지는 않았을 겁니다‘ 이솝우화의 하나이다
’잘되면 자기 탓 못되면 조상 탓’이라는 속담이 있다 탓은 나쁜 일이 일어나는 원인에 대한 책임 전가 또는 잘못된 일이 일어난 것에 대한 구차한 핑계를 말한다 도둑이 된 것을 어머니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불효막심한 범죄자일 뿐이다
불한자가급승단(不恨自家汲繩短) 지한타가고성심(只恨他家苦井深) 자기 집 두레박줄이 짧은 것은 탓하지 않고, 남의 집 샘이 깊은 것만 원망한다는 말이 있다 유불선을 포괄한 명심보감 성심편의 일부이다
명심보감(明心寶鑑)은 고려 충렬왕 때 대제학 추적(秋適)이 엮은 공자를 비롯한 성현들의 금언(金言)과 명구(名句)를 엮어서 편찬한 책이다 자신을 수양하고 반성하는 인격 수양의 목적으로 서당에서 교과서로 사용됐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이솝우화특집 #어린도둑과어머니
어느 마을에 과부가 아들을 키우며 살았다 아들은 학교에서 공책을 훔쳤으나 어머니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아들은 시장에서 과일을 훔쳤으나 어머니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아들이 자라면서 도둑질은 나이만큼 커졌다
마침내 아들은 큰 도둑질을 하다가 붙잡혀서 재판정으로 끌려갔다 아들은 어머니에게 한마디만 할 수 있도록 재판관의 허락을 받고 어머니의 귀를 깨물었다 청중들이 아들의 불경스러운 행위를 비난하자 아들은 말을 하였다
’내가 도둑이 된 원인은 이 어머니입니다 왜냐하면 만약 내가 작은 도둑질을 했을 때 어머니가 나를 채찍질해 주었다면 젊은 나이에 법정에서 처형을 기다리는 범죄자가 되지는 않았을 겁니다‘ 이솝우화의 하나이다
’잘되면 자기 탓 못되면 조상 탓’이라는 속담이 있다 탓은 나쁜 일이 일어나는 원인에 대한 책임 전가 또는 잘못된 일이 일어난 것에 대한 구차한 핑계를 말한다 도둑이 된 것을 어머니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불효막심한 범죄자일 뿐이다
불한자가급승단(不恨自家汲繩短) 지한타가고성심(只恨他家苦井深) 자기 집 두레박줄이 짧은 것은 탓하지 않고, 남의 집 샘이 깊은 것만 원망한다는 말이 있다 유불선을 포괄한 명심보감 성심편의 일부이다
명심보감(明心寶鑑)은 고려 충렬왕 때 대제학 추적(秋適)이 엮은 공자를 비롯한 성현들의 금언(金言)과 명구(名句)를 엮어서 편찬한 책이다 자신을 수양하고 반성하는 인격 수양의 목적으로 서당에서 교과서로 사용됐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이솝우화특집 #어린도둑과어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