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우리 민족의 전쟁 특집 / 6 고려와 원나라의 고려-몽골전쟁)
역사야톡
2022. 4. 26. 19:5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우리 민족의 전쟁 특집 / 6 고려와 원나라의 고려-몽골전쟁)
고려는 3차에 걸친 거란족 요나라의 침입으로 재정이 파탄났고 여진족 금나라에 굴욕스러운 사대외교로 평화를 얻었다 하지만 과거제와 음서제를 통해 합법적으로 정치적 경제적 특권을 세습하여 소수의 문벌귀족 가문에 권력과 경제가 집중됐다
문벌귀족의 모순으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이 일어났다 귀족들의 탐학과 수탈로 민심은 이반했고 국왕의 권위는 추락했다 문신들의 유흥으로 무신들은 굶주렸다 김부식의 아들이자 내시인 김돈중이 촛불로 정3품 상장군 정중부의 수염을 불태웠다
1170년 정중부가 이의방 이고 등과 함께 무신정변을 일으켜서 정권을 장악했다 정중부에 이어 경대승 이의민 최충헌 최우 최항 최의 김준 임연 임유무로 이어졌다 1270년 임유무가 살해될 때까지 100년 동안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했다
1206년 칭기즈칸이 몽골족을 통합하여 몽골국(蒙古國)을 건국했다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동유럽을 유린하며 가장 큰 단일 제국, 가장 큰 육상 제국, 가장 큰 유목 제국, 가장 큰 황제국으로 역사상 가장 넓은 제국을 세웠다
1225년 칭기즈칸의 칙서를 가지고 고려를 방문한 몽골국 사신 저고여(著古與)가 압록강 근교에서 산적들에 의해 살해당하자 몽골국은 고려와 국교를 단절했다 고려는 몽골이 침략의 빌미를 만들기 위한 자작극으로 판단했다
1차 침략은 1231년 살리타이가 개경을 포위하자 고려의 평화협상으로 다루가치 72명을 남기고 철수했다 2차 침략은 1232년 살리타이가 개경을 함락하자 고려는 강화도로 천도했고 김윤후가 살리타이를 저격하자 철수했다
3차 침략은 1235년 탕구타이가 4년 동안 전국을 유린하여 황룡사를 불태웠다 팔만대장경 제조를 시작했고 고려왕의 입조를 조건으로 철수했다 4차 침략은 1247년 이모간이 입조를 요구하며 침략했고 몽골국의 후계자 문제로 철수했다
5차 침략은 1253년 3대 예케가 몽케 칸이 즉위하자 침략했고 고려가 항복을 표하자 몽골군이 철수했다 6차 침략은 1254년 자랄타이가 고려왕 출륙을 요구하며 침략했고 20만 명이 포로로 끌려갔다
7차 침략은 1255년 자랄타이가 침략했고 몽케 칸을 설득하자 몽골군이 철수했다 8차 침략은 1257년 자랄타이가 다시 침략했고 고려왕의 출륙과 친조를 조건으로 몽골군이 철수했다
9차 침략은 1257년 자랄타이가 고려왕의 입조와 출륙을 요구하며 또다시 침략했다 1259년 고려 태자 왕식이 강화를 맺기 위해 몽골국에 갔다가 고종이 사망하자 원종으로 즉위했다 고려는 몽골국에 항복하고 강화에서 38년 만에 개경으로 환도했다
1260년 몽골국 몽케 칸이 사망하자 쿠빌라이 칸이 즉위하여 '몽고는 고려의 풍속을 고치도록 강요하지 않겠다'라고 불개토풍(不改土風)을 약속했다 1270년 무신세력이 제거되자 38년 만에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환도했다
1270년 개경으로 환도하고 삼별초의 해산을 명령하자 삼별초가 항전했으나 고려-몽고연합군에 의해 진압됐다 1271년 쿠빌라이가 대몽골국을 '대원(大元)'으로 개칭했다 1276년 쿠빌라이가 남송을 정벌하고 이민족이 중국을 최초로 통일했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우리민족의전쟁특집 #고려 #원나라 #몽골
고려는 3차에 걸친 거란족 요나라의 침입으로 재정이 파탄났고 여진족 금나라에 굴욕스러운 사대외교로 평화를 얻었다 하지만 과거제와 음서제를 통해 합법적으로 정치적 경제적 특권을 세습하여 소수의 문벌귀족 가문에 권력과 경제가 집중됐다
문벌귀족의 모순으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이 일어났다 귀족들의 탐학과 수탈로 민심은 이반했고 국왕의 권위는 추락했다 문신들의 유흥으로 무신들은 굶주렸다 김부식의 아들이자 내시인 김돈중이 촛불로 정3품 상장군 정중부의 수염을 불태웠다
1170년 정중부가 이의방 이고 등과 함께 무신정변을 일으켜서 정권을 장악했다 정중부에 이어 경대승 이의민 최충헌 최우 최항 최의 김준 임연 임유무로 이어졌다 1270년 임유무가 살해될 때까지 100년 동안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했다
1206년 칭기즈칸이 몽골족을 통합하여 몽골국(蒙古國)을 건국했다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동유럽을 유린하며 가장 큰 단일 제국, 가장 큰 육상 제국, 가장 큰 유목 제국, 가장 큰 황제국으로 역사상 가장 넓은 제국을 세웠다
1225년 칭기즈칸의 칙서를 가지고 고려를 방문한 몽골국 사신 저고여(著古與)가 압록강 근교에서 산적들에 의해 살해당하자 몽골국은 고려와 국교를 단절했다 고려는 몽골이 침략의 빌미를 만들기 위한 자작극으로 판단했다
1차 침략은 1231년 살리타이가 개경을 포위하자 고려의 평화협상으로 다루가치 72명을 남기고 철수했다 2차 침략은 1232년 살리타이가 개경을 함락하자 고려는 강화도로 천도했고 김윤후가 살리타이를 저격하자 철수했다
3차 침략은 1235년 탕구타이가 4년 동안 전국을 유린하여 황룡사를 불태웠다 팔만대장경 제조를 시작했고 고려왕의 입조를 조건으로 철수했다 4차 침략은 1247년 이모간이 입조를 요구하며 침략했고 몽골국의 후계자 문제로 철수했다
5차 침략은 1253년 3대 예케가 몽케 칸이 즉위하자 침략했고 고려가 항복을 표하자 몽골군이 철수했다 6차 침략은 1254년 자랄타이가 고려왕 출륙을 요구하며 침략했고 20만 명이 포로로 끌려갔다
7차 침략은 1255년 자랄타이가 침략했고 몽케 칸을 설득하자 몽골군이 철수했다 8차 침략은 1257년 자랄타이가 다시 침략했고 고려왕의 출륙과 친조를 조건으로 몽골군이 철수했다
9차 침략은 1257년 자랄타이가 고려왕의 입조와 출륙을 요구하며 또다시 침략했다 1259년 고려 태자 왕식이 강화를 맺기 위해 몽골국에 갔다가 고종이 사망하자 원종으로 즉위했다 고려는 몽골국에 항복하고 강화에서 38년 만에 개경으로 환도했다
1260년 몽골국 몽케 칸이 사망하자 쿠빌라이 칸이 즉위하여 '몽고는 고려의 풍속을 고치도록 강요하지 않겠다'라고 불개토풍(不改土風)을 약속했다 1270년 무신세력이 제거되자 38년 만에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환도했다
1270년 개경으로 환도하고 삼별초의 해산을 명령하자 삼별초가 항전했으나 고려-몽고연합군에 의해 진압됐다 1271년 쿠빌라이가 대몽골국을 '대원(大元)'으로 개칭했다 1276년 쿠빌라이가 남송을 정벌하고 이민족이 중국을 최초로 통일했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우리민족의전쟁특집 #고려 #원나라 #몽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