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시인 특집 / 4 정약용)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시인 특집 / 4 정약용)
애절양(哀絶陽) / 정악용(丁若鏞)
蘆田少婦哭聲長 (노전소부곡성장)
哭向縣門號穹蒼 (곡향현문호궁창)
夫征不復尙可有 (부정불복상가유)
自古未聞男絶陽 (자고미문남절양)
노전마을 젊은 아낙 통곡 소리 그칠 줄 모르고
관청문을 향해 울부짖다 하늘 보고 호소하네
정벌 나간 남편은 못 돌아오는 수는 있어도
예부터 남자가 생식기를 잘랐단 말 들어 보지 못했네
豪家終歲奏管弦 (호가종세주관현)
粒米寸帛無所捐 (입미촌백무소연)
均吾赤子何厚薄 (균오적자하후박)
客窓重誦䲩鳩篇 (객창중송시구편)
부호들은 일 년 내내 풍악이나 즐기면서
낟알 한 톨 비단 한 치 바치는 일 없는데
같은 백성인데 왜 그리도 차별일까?
객창에서 거듭거듭 '시구편'을 외워보네
애절양은 정약용이 유배지 강진에서 지은 시이다 삼정 문란으로 삼년상마저 지난 시아버지와 배냇물도 안 마른 갓난아이까지 군적에 올라 군포를 내야 하는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자신의 생식기를 자르는 현실을 비판했다
정재원은 정약현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등을 낳았다 정약현의 딸 정난주와 사위 황사영은 순교했다 정약전은 흑산도로 유배되어 자산어보를 남기고 뭍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정약종은 부인 유소사, 아들 정철상과 정하상, 딸 정정혜와 함께 순교했다
정약용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에서 태어났다 중과시에 이어 대과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서 정조의 총애를 받았다 암행어사와 형조참의를 역임했다 신유박해로 강진으로 유배되어 19년 만에 해배됐다
정약용은 유배지에서 깨끗한 생각, 엄숙한 용모, 과묵한 말씨, 신중한 행동 등 네 가지를 마땅히 해야 할 방책으로 밝히고 목민심서 흠흠심서 경세유표 등 500여 권의 저술을 남겼다 탄생 250주년은 해에 '유네스코 세계 기념인물'로 선정됐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조선시인특집 #정약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