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선조특집 / 3 선조의 생부 덕흥대원군)

역사야톡 2023. 3. 28. 19:5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선조특집 / 3 선조의 생부 덕흥대원군)

중종은 연산군을 몰아내는 반정으로 권력을 탈취했다 중종의 정비인 단경왕후는 즉위 7일 만에 폐비됐다 제1계비 장경왕후는 인종을 낳았고 제2계비 문정왕후는 명종을 낳았다 인종이 후사가 없자 명종이 왕위를 계승했다

인종에 이어 명종마저 후사가 없자 중종의 후궁인 창빈안씨의 손자인 하성군이 선조로 즉위했다 창빈안씨는 중종의 후궁이자 덕흥군의 생모이며 선조의 조모이다 궁녀로 입궁하여 중종의 승은을 입어 덕흥군을 낳았다

덕흥군은 중종과 창빈안씨 사이에서 태어났고 하성군을 낳았다 덕흥군은 주색잡기로 세월을 보내다가 30세에 사망했다 아들 하성군이 선조로 즉위하자 조선에서 최초로 덕흥대원군으로 추증됐다

선조가 즉위하여 할머니 창빈안씨를 정1품 창빈(昌嬪)으로 추봉했고 생부인 덕흥대원군을 추존왕으로 추증하려다가 실패했다 선조가 생부인 덕흥대원군의 아들이 아니라 명종의 양자의 자격으로 즉위했기 때문이다

선조는 조선에서 처음으로 적자나 적손이 아닌 방계에서 즉위했다 문종 단종 연산군 인종 현종 숙종 순종 등은 적장자로 즉위했다 정종 태종 세조 중종 인조 등은 반정으로 즉위했고 선조 철종 고종 등은 방계승통으로 즉위했다

왕위 계승은 아들, 손자, 증손자가 계승하면 직계승통이고 형제, 조카, 숙부가 승계하면 방계승통이다 선조는 명종의 양자로 입적되어 승계하여 혈연관계보다 종법 계통을 우선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았다

덕흥궁(德興宮)은 중종의 후손이자 선조의 조상들을 모시는 사당으로 서울시 종로구 사직단 남쪽 도정궁 후원에 위치했다 덕흥궁은 선조의 명으로 자신이 태어난 도정궁을 창건됐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으나 광해군이 복원했다

덕흥궁에는 중종의 후궁이며 선조의 조모인 창빈안씨, 선조의 생부인 덕흥군, 선조의 생모인 하동부대부인 정씨, 선조의 백부인 하원군, 하원군의 정부인 홍씨와 계부인 이씨의 신위를 모신 사당이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선조특집 #덕흥대원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