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6월의 노래특집 / 1 단장(斷腸)의 미아리 고개)

역사야톡 2023. 6. 18. 20:0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6월의 노래특집 / 1 단장(斷腸)의 미아리 고개)

<단장의 미아리 고개 / 반야월 작사, 이재호 작곡, 이해연 노래>

미아리 눈물고개 임이 넘던 이별 고개
화약 연기 앞을 가려 눈 못 뜨고 헤매일 때
당신은 철삿줄로 두 손 꽁꽁 묶인 채로
뒤돌아보고 또 돌아보고
맨발로 절며 절며 끌려가신 이 고개여
한 많은 미아리 고개

'단장의 미아리 고개'는 1956년 오아시스레코드사에서 발표된 가요이다 '미아리 고개'는 대한민국 국군과 조선인민군의 교전이 일어난 곳이며 북한군이 후퇴하며 폴로들을 끌려간 곳이다 '단장(斷腸)'은 창자를 끊어내는 고통을 말한다

반야월은 한국전쟁 당시 부인과 다섯 살의 어린 딸을 두고 홀로 경상북도 김천으로 피난을 떠났다 서울수복 이후 서울로 돌아와서 부인으로부터 어린 딸을 잃어버렸다는 소식을 들었다

반야월은 딸을 잃은 비통한 심정으로 전쟁의 비극과 북으로 끌려가는 남편을 바라보는 부인의 슬픔 심정을 노래로 표현했다 미아리고개 성곽 입구에 노래 가사를 새긴 노래비가 세워져 있다

반야월은 경상남도 마산 출신으로 진방남 추미림 옥단춘 등 예명을 사용한 작사가이자 가수이다 단장의 미아리 고개를 비롯해 울고 넘는 박달재, 산장의 여인, 소양강 처녀 등을 작사했고 불효자는 웁니다, 꽃마차, 잘 잇거라 항구야 등을 노래했다

반야월은 작곡가 박시춘, 가수 이난영과 더불어 '한국 가요계의 3대 보물'이라 한다 반야월은 일제강점기에 소년초, 조국의 아들 등을 친일가요를 불렀고 결전 태평양, 일억 총 진군 등 군국가요를 작사했다

이재호은 경상남도 진주 출신으로 단장의 미아리 고개를 비롯해 나그네 설움, 무영탑 사랑, 산장의 여인 등을 작곡했다 일제강점기에 친일가요를 작곡하여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됐다 작곡 편곡 연주에 능해 '한국 가요계의 슈베르트'로 불린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6월의노래특집 #단장의미아리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