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7 소수림왕)

역사야톡 2024. 1. 22. 19:5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7 소수림왕)

소수림왕(小獸林王)은 고구려의 17대 왕으로 고국원왕의 아들이며 어려서 신체가 장대하고 지략이 웅대했다 태자로 책봉되어 전연(前燕)과 전진(前秦)을 다녀와서 국제정세를 파악했다 부왕인 고국원왕이 전사하자 즉위했다

소수림왕은 문치주의(文治主義)를 표방하고 내정 안정화에 주력했다 또한 전연(前燕)을 정복하여 화북 일대를 통일하고 남쪽의 동진(東晋)을 공격하기 위해 배후인 고구려를 공격하려 하던 전진(前秦)과 화친을 맺었다

고구려는 전진(前秦)의 왕 부견(苻堅)이 승려 순도(順道)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을 전했고 승려 아도(阿道)가 불도를 전했다 소수림왕은 불교를 공인하고 순도에게 초문사(肖門寺)를, 아도에게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창건하여 머물게 하였다

소수림왕은 귀족 자제들의 유학 교육기관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학교인 태학(太學)을 설립하고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받아 들였다 또한 국가적 성문법 체계인 율령(律令)을 반포하여 중앙집권적인 통치체계를 수립했다

소수림왕은 전진과 백제의 침략으로 쇠퇴했던 국력이 회복되자 평양성 전투에서 전사한 아버지 고국원왕의 복수를 추진했다 근초고왕에 이어 근수구왕이 즉위하자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고 백제가 고구려를 공격하는 공방이 계속됐다

소수림왕은 할아버지 미천왕의 번영을 아버지 고국원왕이 멸망이 위기로 빠뜨렸다 소수림왕은 내치를 강화하여 아들 고국양왕과 손자 광개토대왕에 이어 증손자 장수왕으로 고구려 전성기의 기틀을 마련했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행복한요양병원 #고구려특집 #소수림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