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왕 특집 / 7 왕위찬탈로 왕위계승)
역사야톡
2021. 3. 10. 19:5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왕 특집 / 7 왕위찬탈로 왕위계승)
3대 태종은 왕자의 난, 7대 세조는 계유정난과 세조반정, 11대 중종은 중종반정, 16대 인조는 인조반정으로 즉위했다 난은 국가를 붕괴하고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행동을 말하며 반정은 왕조의 정통성은 유지하며 왕위만 교체하는 것을 말한다
1차 왕자의 난은 이방원이 태조 이성계가 이복동생 이방석을 왕세자로 책봉하자 반란을 일으켜서 이방석을 살해한 사건이다 이방원은 정치적 야심이 없는 동복형 이방과를 왕세자로 추대했다 이성계가 양위하자 이방과는 2대 정종으로 즉위했다
2차 왕자의 난은 이방원이 동복형 이방간이 왕위를 넘보자 반란을 일으켜서 이방간을 살해한 사건이다 정종은 상왕 이성계의 허락을 얻어 이방원을 왕세자로 책봉했다 정종이 양위하자 이방원은 3대 태종으로 즉위했다
수양대군은 세종의 아들이자 문종의 동생이며 단종의 숙부로 계유정난을 일으켜서 김종서와 황보인을 사사하고 권력을 찬탈했다 단종으로부터 형식적인 양위를 받아 세조로 즉위하고 단종을 노산군으로 강등하여 영월로 유배를 보내 사사했다
진성대군은 성종의 아들이자 연산군의 이복동생이다 연산군이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를 일으키며 폭정을 자행했다 진성대군은 성희안 박원종 홍경주 등과 함께 반정을일으켜서 연산군을 폐위하고 11대 중종으로 즉위했다
능양군은 선조의 손자이자 정원군의 아들이며 광해군의 조카이다 광해군이 꺼져가는 명나라와 떠오르는 청나라 사이에서 중립외교를 펼치자 친명배청을 명분으로 반정을 일으켜서 광해군을 폐위하고 16대 인조로 즉위했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조선왕특집 #왕위찬탈
3대 태종은 왕자의 난, 7대 세조는 계유정난과 세조반정, 11대 중종은 중종반정, 16대 인조는 인조반정으로 즉위했다 난은 국가를 붕괴하고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행동을 말하며 반정은 왕조의 정통성은 유지하며 왕위만 교체하는 것을 말한다
1차 왕자의 난은 이방원이 태조 이성계가 이복동생 이방석을 왕세자로 책봉하자 반란을 일으켜서 이방석을 살해한 사건이다 이방원은 정치적 야심이 없는 동복형 이방과를 왕세자로 추대했다 이성계가 양위하자 이방과는 2대 정종으로 즉위했다
2차 왕자의 난은 이방원이 동복형 이방간이 왕위를 넘보자 반란을 일으켜서 이방간을 살해한 사건이다 정종은 상왕 이성계의 허락을 얻어 이방원을 왕세자로 책봉했다 정종이 양위하자 이방원은 3대 태종으로 즉위했다
수양대군은 세종의 아들이자 문종의 동생이며 단종의 숙부로 계유정난을 일으켜서 김종서와 황보인을 사사하고 권력을 찬탈했다 단종으로부터 형식적인 양위를 받아 세조로 즉위하고 단종을 노산군으로 강등하여 영월로 유배를 보내 사사했다
진성대군은 성종의 아들이자 연산군의 이복동생이다 연산군이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를 일으키며 폭정을 자행했다 진성대군은 성희안 박원종 홍경주 등과 함께 반정을일으켜서 연산군을 폐위하고 11대 중종으로 즉위했다
능양군은 선조의 손자이자 정원군의 아들이며 광해군의 조카이다 광해군이 꺼져가는 명나라와 떠오르는 청나라 사이에서 중립외교를 펼치자 친명배청을 명분으로 반정을 일으켜서 광해군을 폐위하고 16대 인조로 즉위했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조선왕특집 #왕위찬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