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 전라도] 한반도에 남은 마지막 지상낙원, 완도
서일환 언론학박사·첨단재활요양병원 본부장
완도는 신라 흥덕왕 때 장보고가 무역 기지인 청해진을 설치하고 무장력과 해양력을 바탕으로 국제무역을 전개했던 곳이다. 문성왕 때 장보고가 왕위 쟁탈전에 휘말려 살해되자 청해진이 폐지되어 주민들은 전라도 벽골 지역으로 강제 이주됐다. 삼별초군이 여몽연합군에 항쟁하여 거주조차 금지됐다. 고려 공민왕이 입도를 허용했으나 왜구들의 노략질이 심해지자 조선 세종이 거주 금지령을 내렸다.
완도군은 고흥반도와 해남반도 사이에 있는 군으로 주도인 완도(완도읍, 군외면), 고금도(고금면), 약산도(약산면), 신지도(신지면), 평일도(금일읍), 생일도(생일면), 금당도(금당면), 노화도(노화읍), 보길도(보길면), 소안도(소안면), 청산도(청산면) 등 201개의 섬으로 구성됐다. 완도군의 해역 중 대부분은 1981년 제14호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완도, 해상왕 장보고가 청해진 설치
완도군은 1896년 23부제를 폐지하고 13제도제를 실시하며 영암, 강진, 해남, 장흥의 4개 군에 속했던 도서를 통합하여 설치했다. 1914년 팔금도는 무안군에, 득량도는 고흥군에, 가우도는 강진군에, 추자도는 제주도에 이속됐다. 1943년 완도읍이, 1980년 금일읍과 노화읍이 승격됐고 3개 읍, 9개 면에 인구는 5만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완도는 전복, 다시마, 미역, 김 등 해조류 생산량이 전국 최고이다.
완도는 완도군의 본 섬으로 대한민국에서 일곱 번째로 큰 섬이다. 완도는 빙그레 웃을 완(莞) 자와 섬 도(島) 자를 쓰며 완도읍과 군외면으로 구성됐다. 해상왕 장보고 유적지는 문화재 사적 제308호로 지정됐다. 정도리 구계등은 길이 800m, 폭 200m의 갯돌해변으로 파도에 밀려 표면에 나타난 자갈밭이 아홉 개 층을 이루고 있고 대한민국 명승 제3호로 지정됐다.
완도, 전복 다시마 미역 김 등 전국 최대 생산
고금도는 장흥반도 남쪽 해상에 위치한 섬으로 고금면을 이룬다. 이순신이 정유재란 당시 고금도에 삼도수군 통제영을 설치하여 왜군을 물리쳤고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장군의 유해가 월송대(月松臺)에 83일간 안장됐다. 신지도는 완도군 동쪽에 위치한 섬으로 신지대교로 완도읍과 연륙되어 서남해안 최적의 휴양지로 손꼽히고 있다. 모래 우는 소리가 십리를 간다는 명사십리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청산도는 청산면의 본 섬으로 일 년 내내 섬이 푸르다고 해서 '청산도(靑山島)'라 부른다. 2007년 슬로시티로 지정됐고 2013년 해양보호 구역으로 지정됐다. 300여 년 전부터 돌이 많고 경사가 심하고 물이 부족하여 구들장 논을 만들었고 2013년 대한민국 국가중요 농업유산 1호로 지정됐다. 영화 ‘서편제’를 비롯해 KBS ‘봄의 왈츠’, SBS ‘여인의 향기’ 등을 촬영했다.
청산도를 제외하고 면소재지가 있는 모든 섬 연결 예정
보길도는 보길면의 본 섬으로 우리나라에서 20번째로 큰 섬이다. 모래로 이루어진 사빈(砂濱) 해수욕장과 몽돌로 이루어진 역빈(礫濱) 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윤선도가 머물면서 부용동이라 명명하고 세연정, 낙서재, 동천석실 등 25개의 건물과 연못을 만들고 은둔하며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등을 남겼다. 보길도 윤선도 원림은 2008년 명승 제34호로 지정됐다.
강진군 마량과 고금도는 거금대교로, 고금도와 약산도는 약산대교로, 고금도와 신지도는 장보고대교로, 신지도와 완도는 신지대교로, 완도와 달도는 완도대교로, 달도와 해남군 남창은 남창교로 연결됐다. 해남에서 보길도를 거쳐 제주로 가는 해저터널이 계획 중이다. 완도 약산도-생일도-금일도-금당도-고흥 거금도를 연결하는 연도교 건설이 완공되면 면 단위는 청산도를 제외하고 모든 섬이 육지와 연결된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역사속전라도 #완도 #청해진 #보길도 #청산도 #광주드림
서일환 언론학박사·첨단재활요양병원 본부장
완도는 신라 흥덕왕 때 장보고가 무역 기지인 청해진을 설치하고 무장력과 해양력을 바탕으로 국제무역을 전개했던 곳이다. 문성왕 때 장보고가 왕위 쟁탈전에 휘말려 살해되자 청해진이 폐지되어 주민들은 전라도 벽골 지역으로 강제 이주됐다. 삼별초군이 여몽연합군에 항쟁하여 거주조차 금지됐다. 고려 공민왕이 입도를 허용했으나 왜구들의 노략질이 심해지자 조선 세종이 거주 금지령을 내렸다.
완도군은 고흥반도와 해남반도 사이에 있는 군으로 주도인 완도(완도읍, 군외면), 고금도(고금면), 약산도(약산면), 신지도(신지면), 평일도(금일읍), 생일도(생일면), 금당도(금당면), 노화도(노화읍), 보길도(보길면), 소안도(소안면), 청산도(청산면) 등 201개의 섬으로 구성됐다. 완도군의 해역 중 대부분은 1981년 제14호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완도, 해상왕 장보고가 청해진 설치
완도군은 1896년 23부제를 폐지하고 13제도제를 실시하며 영암, 강진, 해남, 장흥의 4개 군에 속했던 도서를 통합하여 설치했다. 1914년 팔금도는 무안군에, 득량도는 고흥군에, 가우도는 강진군에, 추자도는 제주도에 이속됐다. 1943년 완도읍이, 1980년 금일읍과 노화읍이 승격됐고 3개 읍, 9개 면에 인구는 5만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완도는 전복, 다시마, 미역, 김 등 해조류 생산량이 전국 최고이다.
완도는 완도군의 본 섬으로 대한민국에서 일곱 번째로 큰 섬이다. 완도는 빙그레 웃을 완(莞) 자와 섬 도(島) 자를 쓰며 완도읍과 군외면으로 구성됐다. 해상왕 장보고 유적지는 문화재 사적 제308호로 지정됐다. 정도리 구계등은 길이 800m, 폭 200m의 갯돌해변으로 파도에 밀려 표면에 나타난 자갈밭이 아홉 개 층을 이루고 있고 대한민국 명승 제3호로 지정됐다.
완도, 전복 다시마 미역 김 등 전국 최대 생산
고금도는 장흥반도 남쪽 해상에 위치한 섬으로 고금면을 이룬다. 이순신이 정유재란 당시 고금도에 삼도수군 통제영을 설치하여 왜군을 물리쳤고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장군의 유해가 월송대(月松臺)에 83일간 안장됐다. 신지도는 완도군 동쪽에 위치한 섬으로 신지대교로 완도읍과 연륙되어 서남해안 최적의 휴양지로 손꼽히고 있다. 모래 우는 소리가 십리를 간다는 명사십리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청산도는 청산면의 본 섬으로 일 년 내내 섬이 푸르다고 해서 '청산도(靑山島)'라 부른다. 2007년 슬로시티로 지정됐고 2013년 해양보호 구역으로 지정됐다. 300여 년 전부터 돌이 많고 경사가 심하고 물이 부족하여 구들장 논을 만들었고 2013년 대한민국 국가중요 농업유산 1호로 지정됐다. 영화 ‘서편제’를 비롯해 KBS ‘봄의 왈츠’, SBS ‘여인의 향기’ 등을 촬영했다.
청산도를 제외하고 면소재지가 있는 모든 섬 연결 예정
보길도는 보길면의 본 섬으로 우리나라에서 20번째로 큰 섬이다. 모래로 이루어진 사빈(砂濱) 해수욕장과 몽돌로 이루어진 역빈(礫濱) 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윤선도가 머물면서 부용동이라 명명하고 세연정, 낙서재, 동천석실 등 25개의 건물과 연못을 만들고 은둔하며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등을 남겼다. 보길도 윤선도 원림은 2008년 명승 제34호로 지정됐다.
강진군 마량과 고금도는 거금대교로, 고금도와 약산도는 약산대교로, 고금도와 신지도는 장보고대교로, 신지도와 완도는 신지대교로, 완도와 달도는 완도대교로, 달도와 해남군 남창은 남창교로 연결됐다. 해남에서 보길도를 거쳐 제주로 가는 해저터널이 계획 중이다. 완도 약산도-생일도-금일도-금당도-고흥 거금도를 연결하는 연도교 건설이 완공되면 면 단위는 청산도를 제외하고 모든 섬이 육지와 연결된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역사속전라도 #완도 #청해진 #보길도 #청산도 #광주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