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처세의 달인 ‘풍도’)
설시(舌詩) / 풍도(馮道)
구시화지문(口是禍之門) 입은 화를 부르는 문이요
설시참신도(舌是斬身刀) 혀는 몸을 베는 칼이니.
폐구심장설(閉口深藏舌) 입을 다물고 혀를 깊이 감추면
안신처처뢰(安身處處牢) 몸이 어디에 있든지 편안하리라
풍도(馮道)는 882년 태어나서 954년 사망하여 73세까지 장수한 정치가이다 풍도는 청렴하고 검소했고 지혜가 많았다 후당 후진 요 후한 후주 등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군주를 섬겼다 30년 벼슬 중에서 20년 동안 네 왕조의 재상을 역임했다
875년 환관들의 수탈과 횡포에 저항하며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당나라는 멸망의 길을 재촉했다 907년 주전충이 당나라 마지막 황제인 9대 애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후량을 건국하여 오대십국 시대(五代十國 時代)가 시작했다
풍도는 이존욱이 후당(後唐)의 초대 황제로 즉위하자 재상으로 등용됐고 2대 이사원, 3대 이종후, 4대 이종가까지 모셨다 석경당이 후진(後晉)의 황제로 즉위하자 다시 재상으로 등용됐고 2대 석중귀까지 모셨다
풍도는 유지원이 후한(後漢)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로 즉위하자 또다시 재상으로 등용됐고 2대 유승우, 3대 유윤까지 모셨다 곽위가 후주(後周)의 초대 황제로 즉위하자 재상으로 등용됐고 2대 세종까지 모시다가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풍도는 백성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다섯 왕조에서 11명의 군주를 모셨다 풍도는 자서전 장락노자서(長樂老自敍)를 집필하여 권력을 위해서는 군주와 충성, 친구와
의리는 모두 버리고 오뚜기처럼 살았던 자신의 삶을 기록했다
당송팔대가 한 사람이자 북송의 역사학자인 구양수(歐陽脩)는 "과연 파렴치하기 짝이 없는 자구나!" 라며 ‘관리만 될 수 있다면 늘 즐겁게 보냈으며, 관직이 없으면 살 수 없고, 관직만 있으면 만사가 족하였다’ 라고 풍도를 평가했다
후주의 2대 세종 곽시영이 오대십국의 통일을 목전에 두고 사망하자 7세에 불과한 어린 아들 시종훈이 3대 공제로 즉위했다 후주의 장수들이 어린 황제를 앞세우고 요나라와 북한의 연합군과 싸우는 것을 불안해 하였다
960년 조광윤은 진교의 변(陳橋之變)으로 후주(後周)의 마지막 황제인 시종훈으로부터 선양받아 송나라를 건국하여 오대가 끝났다 970년 송태종 조광의가 마지막 남은 십국의 북한(北漢)을 정복하여 십국이 끝났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