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불천위)

역사야톡 2024. 11. 8. 19:5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불천위)

기제사(忌祭祀)는 기일에 지내는 제사라는 뜻으로 신주(神主)를 모시고 4대 봉사를 한다 4대봉사(四代奉祀)는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까지 4대에 걸쳐 제사를 받든다는 뜻이다 장자손(長子孫)을 기준으로 고조(高祖)까지를 말한다

5세를 넘기는 조상의 제사의 대상에서 벗어나는 5세즉천(五世則遷)의 원칙에 따라 신주(神主)를 4대손이 모두 죽을 때까지 사당에 모시다가 매안(埋安)하여 산소에 묻고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불천위(不遷位)는 예외적으로 신위(神位)를 사당에서 빼 옮기지(遷) 않고(不) 후손들이 대대로 계속 제사를 지내는 허용하는 제도로 부조지전(不祧之典)이라 한다 부조묘(不祧廟)는 불천위 제사의 대상이 되는 신주를 둔 사당을 말한다

문묘(文廟)에 종사된 동방 18현 등 나라에서 정하는 국불천위(國不遷位), 시호를 받거나 서원에 배향된 유림에서 정하는 향불천위(鄕不遷位), 입향조와 현조 등 문중에서 정하는 가불천위(家不遷位) 등이 있다

-건서습동(乾西濕東) : 습한 것은 동쪽에, 마른 것은 서쪽에 놓는다
-고서비동(考西妣東) : 여자 조상은 동쪽에, 남자 조상은 서쪽에 모신다
-두동미서(頭東尾西) : 머리는 동쪽에, 꼬리는 서쪽에 놓는다
-산동야서(山東野西) : 산 과일은 동쪽, 들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생동숙서(生東熟西) : 생것은 동쪽에, 익힌 것은 서쪽에 놓는다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는다
-이세위상(以細爲上) : 작은 것은 동쪽에, 큰 것을 서쪽에 놓는다
-접동잔서(接東盞西) :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색은 동쪽에, 흰색은 서쪽에 놓는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행복한요양병원 #불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