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7.4 남북공동선언)

역사야톡 2025. 6. 26. 19:4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7.4 남북공동선언)

1969년 7월 25일 미국 제37대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괌에서 ‘미국은 앞으로 베트남 전쟁과 같은 군사적 개입을 피한다’라는 대아시아 관련 외교정책을 발표했다 미소의 데탕트가 시작됐고 미중의 외교관계가 복원됐다

1972년 7월 4일 서울과 평양에서 박정희의 대한민국 제3공화국과 김일성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의 조국통일원칙인 7.4 남북공동선언을 발표했다 한반도에서의 ‘선 평화, 후 통일’의 접근방식이다

첫째, 통일은 외세에 의존하거나 외세의 간섭을 받음이 없이 자주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둘째, 통일은 서로 상대방을 반대하는 무력행사에 의거하지 않고 평화적 방법으로 실현하여야 한다.
셋째, 사상과 이념, 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우선 하나의 민족으로서 민족 대단결을 도모하여야 한다.

1972년 10월 17일 박정희 대통령은 국회해산과 헌법중지의 특별선언을 하였다 헌법개정을 통해 통일주체국민회의의 대통령 간선제, 대통령에게 국민 기본권 제한, 국회해산권 부여, 국회의원의 1/3을 임명하는 등의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1972년 12월 27일 김일성 주석은 최고인민회의 제5기 1차 회의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을 채택했다 주체사상의 헌법 규범화하고 조선로동당의 우월적 지위와 사회주의적 소유제도의 확립했다

1974년 8월 15일 문세광이 유영수를 저격하여 남북한은 긴장이 고조됐다 1975년 4월 30일 북베트남이 사이공을 함락하자 미국이 남베트남에서 탈출하자 남북한은 긴장은 더욱 고조됐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행복한요양병원 #7.4남북공동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