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려의 시인 특집 / 5 이제현)
沙里花(사리화) / 李齊賢(이제현)
참새야 어디에서 오고가며 날고 있는 것이냐
일 년 농사는 아랑곳하지도 않고
늙은 홀아비가 혼자 밭을 갈고 김맸는데
밭의 벼와 기장을 모두 먹어 치우다니
고려사에는 세금은 무겁고 탐관오리들은 수탈이 심하여 백성들이 참새가 곡식을 쪼아먹는 것에 비유하여 농민들의 궁핍한 삶을 '사리화(沙里花)'를 지어 풍자했다고 기록됐다
참새는 참새목 참새과에 속하는 텃새로 유숙기와 성숙기에 벼를 먹는 유해 조류이다 김은 인간에 의해 재배되지 않고 때와 장소에 적절하지 않은 잡풀이다 기장은 벼과 기장속의 한해살이풀로 씨앗으로 밥과 떡을 만든다
이제현은 정1품 검교첨의정승 이진(李瑱)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제현은 이진의 아들이자 권부의 사위이고 백이정의 제자이다 고려에 성리학을 도입한 안향의 여섯 제자인 이진 권부 백이정 우탁 이조년 신천을 '6군자'라고 불렀다
혜비 이씨(惠妃 李氏)는 이제현의 딸이자 공민왕의 제2비이다 노국대장공주의 질투로 공민왕의 사랑을 받지 못해 자녀를 낳지 못했다 공민왕이 홍륜과 최만생에게 시해되자 비구니가 되었다
이제현은 원나라 연경에 머물고 있던 태상왕 충선왕의 부름을 받아 사천성 아미산과 절강성의 보타산을 유람했다 유배된 충선왕을 만나기 위해 감숙성의 타마사를 다녀왔다 고려를 원나라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하려던 입성책동을 막아냈다
이제현은 모함을 받고 유배된 26대 충선왕의 억울함을 원나라 5대 황제 영종에게 호소하여 석방되게 하였다 충선왕은 아버지 충렬왕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즉위했으나 조비무고 사건(趙妃誣告 事件)으로 원나라에 의해 강제 퇴위당했다
충선왕은 충렬왕이 즉위하여 10년 동안 원나라에 머물다가 충렬왕이 사망하자 다시 즉위했다 복위하여 원나라에 돌아가서 5년 동안 귀국하지 않고 전지(傳旨)를 통해 국정을 행사했다 무고로 인해 토번(吐蕃)으로 유배됐다가 해배되어 사망했다
이제현이 중국의 효자 64인에 대한 효행을 모아 간행한 효행록(孝行錄)은 세종대왕이 편찬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의 기초가 되었다 이제현은 보물로 지정된 10권의 시문집 익재난고(益齋亂藁)와 4권의 시화집 역옹패설(櫟翁稗說)을 남겼다
이제현은 본부인에 이어 둘째 부인마저 사별하고 세 번째로 혼인했다 이제현의 묘지명에 "도덕의 으뜸이요, 문학의 종장이다(道德之首 文章之宗)" 라고 목은 이색이 남겼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고려의시인특집 #이제현 #사리화
沙里花(사리화) / 李齊賢(이제현)
참새야 어디에서 오고가며 날고 있는 것이냐
일 년 농사는 아랑곳하지도 않고
늙은 홀아비가 혼자 밭을 갈고 김맸는데
밭의 벼와 기장을 모두 먹어 치우다니
고려사에는 세금은 무겁고 탐관오리들은 수탈이 심하여 백성들이 참새가 곡식을 쪼아먹는 것에 비유하여 농민들의 궁핍한 삶을 '사리화(沙里花)'를 지어 풍자했다고 기록됐다
참새는 참새목 참새과에 속하는 텃새로 유숙기와 성숙기에 벼를 먹는 유해 조류이다 김은 인간에 의해 재배되지 않고 때와 장소에 적절하지 않은 잡풀이다 기장은 벼과 기장속의 한해살이풀로 씨앗으로 밥과 떡을 만든다
이제현은 정1품 검교첨의정승 이진(李瑱)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제현은 이진의 아들이자 권부의 사위이고 백이정의 제자이다 고려에 성리학을 도입한 안향의 여섯 제자인 이진 권부 백이정 우탁 이조년 신천을 '6군자'라고 불렀다
혜비 이씨(惠妃 李氏)는 이제현의 딸이자 공민왕의 제2비이다 노국대장공주의 질투로 공민왕의 사랑을 받지 못해 자녀를 낳지 못했다 공민왕이 홍륜과 최만생에게 시해되자 비구니가 되었다
이제현은 원나라 연경에 머물고 있던 태상왕 충선왕의 부름을 받아 사천성 아미산과 절강성의 보타산을 유람했다 유배된 충선왕을 만나기 위해 감숙성의 타마사를 다녀왔다 고려를 원나라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하려던 입성책동을 막아냈다
이제현은 모함을 받고 유배된 26대 충선왕의 억울함을 원나라 5대 황제 영종에게 호소하여 석방되게 하였다 충선왕은 아버지 충렬왕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즉위했으나 조비무고 사건(趙妃誣告 事件)으로 원나라에 의해 강제 퇴위당했다
충선왕은 충렬왕이 즉위하여 10년 동안 원나라에 머물다가 충렬왕이 사망하자 다시 즉위했다 복위하여 원나라에 돌아가서 5년 동안 귀국하지 않고 전지(傳旨)를 통해 국정을 행사했다 무고로 인해 토번(吐蕃)으로 유배됐다가 해배되어 사망했다
이제현이 중국의 효자 64인에 대한 효행을 모아 간행한 효행록(孝行錄)은 세종대왕이 편찬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의 기초가 되었다 이제현은 보물로 지정된 10권의 시문집 익재난고(益齋亂藁)와 4권의 시화집 역옹패설(櫟翁稗說)을 남겼다
이제현은 본부인에 이어 둘째 부인마저 사별하고 세 번째로 혼인했다 이제현의 묘지명에 "도덕의 으뜸이요, 문학의 종장이다(道德之首 文章之宗)" 라고 목은 이색이 남겼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고려의시인특집 #이제현 #사리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