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세계분쟁 특집 / 8 키프로스 통일운동)

역사야톡 2022. 8. 9. 19:5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세계분쟁 특집 / 8 키프로스 통일운동)

키프로스섬은 지리적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을 잇는 지정학적 위치에 있는 섬이다 시칠리아섬과 이탈리아 사르데냐섬 다음으로 지중해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다 북쪽에는 터키, 서쪽에는 그리스, 동쪽에는 시리아 레바논 이스라엘 등과 접한다

키프로스섬은 페니키아의 식민도시가 건설됐고 알렉산더대왕 로마제국 비잔티움제국 베네치아공화국 오스만제국 대영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다 영국은 1차대전 당시 수에즈 운하를 바라보는 전략적 요충지라는 이유로 키프로스를 점령했다

1960년 영국 그리스 터키의 취리히협정과 런던협정으로 키프로스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1963년 그리스와 터키가 분쟁을 부추겨서 분쟁이 일어나자 유엔군이 파견되어 분쟁에 개입했다

1974년 그리스 군부정권의 지원을 받아 군인들이 쿠데타를 일으켜서 니코스 삼손을 대통령으로 추대했다 터키가 미국과 나토의 지원을 받아 키프로스를 침공하여 섬의 36%를 점령하고 북키프로스 정부를 수립하여 남북으로 분단됐다

1983년 유엔에서 터키군대의 철수를 요구하자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은 북키프로스의 독립을 선언됐다 유엔은 남키프로스는 유엔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인정받고 유럽연합에 가입했고 남키프로스만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남키프로스의 정식 명칭은 키프로스공화국이다 면적은 경상남도와 비슷하고 인구는 85만 명이다 남한과 북한이 모두 수교했다 북키프로스를 실효적으로 지배하지 못해 남북으로 분단된 국가이다 키프로스섬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북키프로스는 미승인 국가이며 면적은 제주도 2배이고 인구는 30만 명이며 터키계 주민이 99%를 차지하며 수도는 북니코시아이다 경제적으로 터키의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키프로스섬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유엔의 중재로 남-북 키프로스의 통일문제를 주민투표에 붙였다 남키프로스는 반대 76%로, 북키프로스는 찬성 65%로 부결됐다 2016년 남-북 키프로스의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갖고 각각 자치권을 갖는 연방제 통일에 원론적 합의했다

하지만 터키군의 철군문제, 자원문제, 역사문제 경계문제 등의 난제로 협상이 결렬됐다 결국 현상 유지로 영구 분단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남-북 키프로스인들이 여권 없이 자유롭게 상대방의 지역을 여행할 수 있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세계분쟁특집 #키프로스 #키프로스통일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