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잊혀진 애국지사 / 1 순국열사 홍범식)
홍범식(洪範植)은 정2품 이조판서를 역임한 홍우길의 손자이며 정2품 중추원 참의를 역임한 홍승목의 아들이다 과거에 급제하여 진사를 시작으로 내부주사와 혜민서참서를 역임했다 태인군수로 재직 중에 정미의병이 일어나자 의병 보호책을 펼쳤다
1907년 대한제국과 일본제국 사이에 불평등 조약인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이 체결되어 대한제국은 일본제국의 보호령으로 전락했다 한일신협약은 정미 7늑약(丁未 七勒約), 3차 한일협약(三次 韓日協約) 이라 부른다
고종 황제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2회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하여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폭로했다 일제는 특사 파견을 빌미로 한일신협약을 체결하고 고종 황제를 강제로 퇴위시키고 대한제국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켰다
대한제국 군인 제1대대장 박승환이 자결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정미의병이 일어났다 이인영과 허위를 중심으로 13도 창의군을 편성하여 서울 진공 작전을 펼쳤으나 실패했다 일제는 남한대토벌작전으로 의병 소탕 작전을 자행했다
<기울어진 국운을 바로 잡기엔 내 힘이 무력하기 그지없고 망국노의 수치와 설움을 감추려니 비분을 금할 수 없어 스스로 순국의 길을 택하지 않을 수 없구나. 피치 못해 가는 길이니 내 아들아 너희들은 어떻게 하든지 조선사람으로 의무와 도리를 다하여 빼앗긴 나라를 기어이 되찾아야 한다. 죽을지언정 친일을 하지 말고 먼 훗날에라도 나를 욕되게 하지 말아라> 아버지 홍범식이 아들 홍명희에게 남긴 유서의 일부이다
홍범식이 금산군수로 재직 중에 1910년 한일합방 조약이 체결되자 망국의 수치와 설움을 참지 못하고 유서를 남기고 소나무에 목을 매고 자결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고 2000년 8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됐다
홍승목은 홍범식의 아버지로 한일합방 조약에 찬성하고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지냈고 일본 정부로부터 한국병합 기념장을 받았다 홍승목은 친일파로 708인과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등에 선정됐고 친일인명 사전에 등재됐다
홍명희는 홍범식의 아들로 22세에 아버지가 자결하자 일본 유학 중에 귀국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3.1 운동과 신간회 사건으로 구속됐고 대하소설 임꺽정을 저술했다 해방 이후 월북하여 금기의 인물이 되었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잊혀진애국지사특집 #홍범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