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버림받은 독립운동가 특집 / 7 아나키스트 이회영)
이회영(李會榮)은 이항복의 후손으로 한성부의 저동(苧洞)에서 이조판서를 지낸 이유승과 동래정씨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유승은 첫째 이건영 둘째 이석영 셋째 이철영 넷째 이희영 다섯째 이시영 등을 낳았다
이회영은 한학을 배웠으나 감리교로 개종하고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에 참여했다 노비해방과 적서타파 여성의 부당한 인습반대, 개가와 재혼을 허용 등을 주장했다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나인영 기산도 등과 함께 을사오적 암살을 모의하다 실패했다
이회영은 만주에 서전서숙을 세우고 무력항쟁 기지를 설립할 구상했다 안창호 신채호 등과 비밀결사조직인 신민회(新民會)를 결성했다 경술국치를 당하자 국내에 있던 재산은 처분하고 60명에 달하는 대가족을 이끌고 만주로 망명했다
이회영 일가는 당시 소 13,000마리 값으로 현재 시가로 600억 원 정도를 가지고 간도에서 신흥강습소를 설치하고 독립운동을 위한 기반을 닦았다 1919년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이회영은 동생 이시영과 함께 의원으로 참가했다
이회영은 내분으로 분열된 임시정부를 탈퇴하고 상하이에서 유자명 백정기 등과 재중국 무정부주의자 연맹과 흑색공포단(BTP)을 창립하고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1932년 다롄 항구에서 65세의 나이로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어 고문으로 옥사했다
장남 이건영은 상하이에서 독립운동 도중 병사하여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됐다 차남 이석영은 독립운동 도중 영양실조로 사망하여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됐다 삼남 이철영은 독립운동 도중 병사하여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됐다
사남 이회영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했고 일제에 체포되어 옥사하여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다 육남 이호영은 항일단체인 다물단원으로 항일운동을 하다가 행방불명되어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됐다
다섯째 이시영만 해방이 되어 살아서 귀국하여 초대 부통령이 되었고 이승만 대통령이 국민방위군 사건을 자행하자 실망감을 느끼고 사퇴했다 이회영은 1962년 박정희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행복한요양병원 #버림받은독립운동가특집 #이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