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일본특집 / 10 유신3걸)
에도 바쿠후가 미국의 개방 압력에 굴복하고 쇄국정책을 폐지했다 바쿠후타도파와 왕정복고파가 연합하여 에도 바쿠후를 붕괴시키고 대정봉환으로 텐노 중심 체제로 복구했다
메이지 유신은 텐노의 이름을 높이고 외세를 배격하자는 존왕양이(尊王攘夷)에서 출발했다 조선을 정벌하자는 정한론을 주창한 조슈번의 '요시다 쇼인'이 가속화했다 앙숙관계이던 사쓰마번과 조슈번이 동맹을 맺어 에도 바쿠후를 타도했다
쇼군이 메이지 텐노에게 통치권을 반납하는 대정봉환(大政奉還 )으로 일본제국이 수립됐다 메이지 정부는 다이묘의 영지를 텐노에게 귀속한다는 판적봉환(版籍奉還)과 번(藩)을 폐지하여 현(縣)을 설치하는 폐번치현(廃藩置県)을 추진했다
264년 동안 일본을 통치해 온 도쿠가와 가문의 에도 바쿠후를 무너뜨리고 메이지 유신을 성공시킨 3인을 유신3걸(維新三傑)이라고 한다 유신 3걸은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 '기도 다카요시' 등이다 하지만 유신3걸은 하나는 자살하고, 하나는 살해되고, 하나는 병으로 죽어 천명을 다하지 못했다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는 메이지 유신의 주역으로 조선을 정벌하자는 정한론을 주장했다 텐노에 의해 결정된 조선정벌이 취소되자 국가 의회원과 정부군 사령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인 가고시마로 낙향했다
'사이고 다카모리'는 개인적으로 군사학교를 개설하여 학생들이 20,000명으로 늘어나자 정부로부터 탄압을 받았다 사무라이에 대한 특혜 철폐와 사설 학교 탄압에 대한 불만으로 '세이난 전쟁'을 일으켜서 6개월 만에 패배하고 할복했다
'오쿠보 도시미치(大久保 利通)'는 메이지 유신의 주역으로 세이난 전쟁을 진압했다 메이지 정부의 핵심 인물이 되어 부국강병을 주창하며 근대 일본의 관료 시스템을 구축했다
'오쿠보 도시미치'는 국내의 개혁과 성장이 우선되어야 한다며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을 반대했다 '오쿠보 도시미치'의 강력한 권력 행사에 반대한 일당에 의해 도쿄에서 암살됐다
'기도 다카요시(木戸 孝允)'는 메이지 유신의 주역이며 정한론을 주창한 '요시다 쇼인'의 문하생으로 존왕양이의 사상을 배웠다 수도를 교토에서 도쿄로 옮기는 데 앞장섰다
'기도 다카요시'는 조선정벌과 타이완출병이 시기상조라며 반대하여 실각됐다 다시 복귀하여 입헌 군주제를 주장하며 서구식 헌법 제정에 참여했다 지병으로 43세에 사망했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유신3걸 #사이고다카모리 #오쿠보도시미치 #기도다카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