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원교 이광사 특집 / 2 종고조부 이경석)
이경석(李景奭)은 덕천군 이후생의 후손으로 충청도 제천 출신이다 호조판서 이경직의 동생이자 이광사의 종고조부이다 척화파 김상헌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진사시와 증광별시에 급제했으나 인목대비 폐위 상소에 가담하지 않아 삭적됐다
이경석은 인조반정 이후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하여 정5품 이조정랑으로 승진했다 중시문과에 급제하여 정3품 우부승지로 승진했다 이인거가 광해군 복위를 꾀하며 일으킨 반란을 제압하여 1등공신에 책록됐고 종2품 가선대부로 승진했다
이경석은 인조반정 공신파들의 특권과 전횡에 분개하여 김집 송시열 송준길 등 산림학자들을 인조에 천거하여 등용하게 하였다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산당파는 정원대원군의 추존왕 추숭에 반대하며 소현세자 복권과 강빈의 사면을 주장했다
이경석은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인조와 함께 남한산성으로 들어갔다 인조가 항복문서를 쓰라고 하자 좌참찬 이경전은 병을 이유로 거절했고 공조판서 장유와 예조참판 조희일은 채택되지 않으려고 고의로 거칠게 작성했다
이경석은 ‘글을 배운 것이 천추의 한입니다’라며 항복문서를 작성했다 삼전도비문은 병자호란에 패배하고 청나라의 승전을 축하하고 청태종을 칭송하는 대청황제공덕비이다 비문은 대사헌 이경석이 짓고, 대사헌 오준이 썼고, 이조참판 여이징이 새겼다
송시열은 인조가 항복하자 정치를 은퇴하고 고향으로 도망가서 목숨을 구걸했다 제자 송시열은 현종이 즉위하고 삼전도비를 썼다는 이유로 스승 이경석을 비난했다 이경석은 소현세자의 스승의 자격으로 심양에 함께 갔다가 투옥됐다
이경석은 귀국하여 정2품 이조판서에 이어 정1품 영의정으로 승진했다 효종이 즉위하여 북벌계획이 탄로 나자 효종을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 백마산성에 위리안치됐다 이경석이 궤장을 하사받고 사망하자 박세당이 짓고 이광사가 써서 신도비를 세웠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원교이광사특집 #이경석
이경석(李景奭)은 덕천군 이후생의 후손으로 충청도 제천 출신이다 호조판서 이경직의 동생이자 이광사의 종고조부이다 척화파 김상헌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진사시와 증광별시에 급제했으나 인목대비 폐위 상소에 가담하지 않아 삭적됐다
이경석은 인조반정 이후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하여 정5품 이조정랑으로 승진했다 중시문과에 급제하여 정3품 우부승지로 승진했다 이인거가 광해군 복위를 꾀하며 일으킨 반란을 제압하여 1등공신에 책록됐고 종2품 가선대부로 승진했다
이경석은 인조반정 공신파들의 특권과 전횡에 분개하여 김집 송시열 송준길 등 산림학자들을 인조에 천거하여 등용하게 하였다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산당파는 정원대원군의 추존왕 추숭에 반대하며 소현세자 복권과 강빈의 사면을 주장했다
이경석은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인조와 함께 남한산성으로 들어갔다 인조가 항복문서를 쓰라고 하자 좌참찬 이경전은 병을 이유로 거절했고 공조판서 장유와 예조참판 조희일은 채택되지 않으려고 고의로 거칠게 작성했다
이경석은 ‘글을 배운 것이 천추의 한입니다’라며 항복문서를 작성했다 삼전도비문은 병자호란에 패배하고 청나라의 승전을 축하하고 청태종을 칭송하는 대청황제공덕비이다 비문은 대사헌 이경석이 짓고, 대사헌 오준이 썼고, 이조참판 여이징이 새겼다
송시열은 인조가 항복하자 정치를 은퇴하고 고향으로 도망가서 목숨을 구걸했다 제자 송시열은 현종이 즉위하고 삼전도비를 썼다는 이유로 스승 이경석을 비난했다 이경석은 소현세자의 스승의 자격으로 심양에 함께 갔다가 투옥됐다
이경석은 귀국하여 정2품 이조판서에 이어 정1품 영의정으로 승진했다 효종이 즉위하여 북벌계획이 탄로 나자 효종을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 백마산성에 위리안치됐다 이경석이 궤장을 하사받고 사망하자 박세당이 짓고 이광사가 써서 신도비를 세웠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원교이광사특집 #이경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