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원교 이광사 특집 / 10 육진팔광)

역사야톡 2021. 4. 27. 19:5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원교 이광사 특집 / 10 육진팔광)

경종이 즉위하여 소론이 집권하자 신임옥사로 노론을 숙청했다 영조가 즉위하여 노론이 집권하자 경신처분으로 소론을 숙청했다 경신처분은 영조가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임사화를 재조사하여 무고(誣告)였다고 결정하고 내린 처분이다

이진유는 호조판서 이경직의 증손자이고 판돈령부사 이정영의 손자이자 이조참판 이대성의 아들이며 예조판서 이진검의 친형이다 이진유는 이조참판을 역임했고 임인옥사에 가담했고 경신처분으로 추자도로 유배됐다가 의금부로 압송되어 사사됐다

육진팔광(六眞八匡)은 이진유(李眞儒)가 유배지에 끌려와서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경기도 강화도(江華島)로 들어가서 출사(出仕)를 포기하고 학문에만 힘썼던 이진유의 후손인 강화학파를 말한다

육진(六眞)은 이경직과 이경석의 증손으로 진(眞) 자(字) 항렬인 이진순(李眞淳), 이진수(李眞洙), 이진유(李眞儒), 이진검(李眞儉), 이진급(李眞伋), 이진위(李眞偉) 등 6명을 말한다

팔광(八匡)은 이경직과 이경석의 현손으로 광(匡) 자(字) 항렬인 이광세(李匡世), 이광보(李匡輔), 이광려(李匡呂), 이광사(李匡師), 이광찬(李匡贊), 이광덕(李匡德), 이광의(李匡誼), 이광도(李匡度) 등 8명을 말한다

이진검의 아들인 이광사는 동국진체를 완성했고 이광사의 아들 이긍익은 연려실기술을 저술했다 이진위의 아들인 이광명은 양명학을 배웠고 이광명의 아들 이충익, 손자 이면백, 증손자 이시원, 고손자 이상학, 현손자 이건창 이건승 이건방 등에게 계승했다

육대계승(六代繼承)은 이진위가 사망하자 강화도에 입향하여 기거하며 6대 250여 년 동안 강화학파를 계승한 학자들이다 1대 이광명 이광현 이광사, 2대 이충익 이긍익, 3대 이면백, 4대 이시원, 5대 이상학, 6대 이건창 이건승 이건방 등을 말한다

육대함이(六代含飴)는 공자의 72대손인 공헌배(孔憲培)가 6세대(世代)의 대가족이 한 집안에서 사이좋게 살아간다는 말이다 청나라 6대 황제 건륭제가 공자의 고향 취푸를 찾아가서 ‘육대함이’라는 편액을 남겼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원교이광사특집 #육진팔광 #육대계승 #육대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