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독립군 특집 / 9 대한민국 국군)

역사야톡 2021. 5. 31. 19:5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독립군 특집 / 9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으로 창설된 군대이다 육군 해공 공군 예비군으로 구성됐다 대한민국 헌법 제4장 제1절 제74조에는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군을 통수한다고 명시됐다

1950년 6월 25일 인민군의 침입으로 맥아더에게 국군의 작전지휘권을 이양했다 1978년 작전지휘권은 한미연합사로 이양됐고 1994년 평시작전통제권이 국군에 이양됐다 2012년 이양될 예정이던 전시작전통제권은 이명박이 무기한 연기했다

대통령이 국군을 통솔하고, 국방부 장관이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 합동합모의장과 각 군 참모총장을 지휘·감독한다 합동참모의장은 국방부 장관을 보좌하고 각 군을 지휘 감독한다 베트남전쟁 걸프전 소말리아 동티모르 등에 파견되어 참전했다

대한민국 국군은 한국전쟁 당시 백척간두의 위기에서 대한민국을 지켜냈다 하지만 이승만 독재를 지원하고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등이 군사 쿠데타를 자행하여 1961년부터 1993년까지 32년 동안 군부 통치를 자행했다

1945년 미군정청이 군사영어학교를 설치하고 일본육사와 만주군관학교 출신들이 입학하여 백선엽 이응준 이형근 유재흥 정일권 채병덕 등 졸업했다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와 조선해안경비대를 창설했다

1948년 남조선 국방경비대는 육군으로, 조선해안경비대는 해군으로 개편됐다 1949년 육군항공대는 공군으로 독립했고 해병대가 창설됐다 1950년 이승만이 국민 방위군을 창설했고 1968년 박정희가 향토예비군을 창설했다

이범석 초대 국무총리 겸 국방부 장관은 신흥무관학교 출신으로 청산리전투에 참전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의 중장으로 광복군 참모장과 제2지대장 등을 지냈다 이응준 초대 육군참모총장은 일본육사를 졸업하고 일본 육군 대좌로 복무했다

손원일 초대 해군참모총장은 독립운동가의 아들이자 해운사업에 종사했다 김정렬 초대 공군참모총장은 일본육사를 졸업하고 일본 육군 대위로 복무했다 신현준 초대 해병대 사령관은 펑톈군관학교를 졸업하고 간도특설대 대위로 복무했다

1951년 5월 강원도 인제에서 벌어진 현리전투에서 유재흥이 이끈 국군 제3군단이 괴멸적인 패배를 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칠천량해전, 병자호란 당시 쌍령전투, 한국전쟁 당시 현리전투를 역사상 3대 패전으로 손꼽힌다

유재흥은 일본육사 출신으로 일본군 대위로 복무했다 제7사단장으로 의정부전투에서 궤멸했고 제2군단장으로 덕천전투에서 전멸했다 제3군단장으로 현리전투에서 패배하여 제3군단은 해체됐고 육군본부 작전권이 상실됐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독립군특집 #국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