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회영 특집 / 2 이회영의 5대조 이종성과 생부 이유승)
이종성은 이항복의 6세손으로 2세손인 아들 이정남, 3세손인 손자 이시술, 4세손인 증손자 이세필, 5세손인 현손자 이태좌의 대를 이었다 이종성은 종2품 형조판서를 역임한 이세필의 손자이고 정1품 좌의정을 역임한 이태좌의 아들이다
이종성은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로 재직 중에 소론 소속이지만 소론인 이인좌가 일으킨 이인좌 난을 진압하여 1등공신에 책록됐다 경상도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민폐를 일소했다
이종성은 대사성과 부제학에 이어 정3품 이조참의가 되어 노론 중심의 탕평책을 반대하여 파직됐다 복직하여 대사헌 형조판서 영의정 등을 역임했다 영의정을 사임하고 정1품 영중추부사가 되어 사도세자를 교육했다 사도세자 장조의 묘정에 배향됐다
이유승은 이항복의 10세손으로 6세손인 내손자 이종성, 7세손인 곤손자 이경관, 8세손인 잉손자 이정규, 9세손인 운손자 이계조의 대를 이었다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이 되었다 좌부승지로 승진했다 고종 황제를 폐위하고 황위를 찬탈하려던 이재선을 탄핵하여 유배를 보냈다
이유승은 정2품 이조판서와 종1품 우찬성을 역임했다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국권회복의 상소를 올리고 매국노 박제순의 의정서리 임명에 반대했다 72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시호 효정(孝貞)을 받았다
이유승은 이제현과 신위의 뜻을 이어 우리 가요를 보전하고 계승하기 위해 전래의 시조를 한시로 번역한 속소악부(續小樂府)를 남겼다 이유승은 장남 이건영, 차남 이석영, 삼남 이철영, 사남 이회영, 오남 이시영, 육남 이호영 등을 낳았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이회영특집 #이종성 #이유승
이종성은 이항복의 6세손으로 2세손인 아들 이정남, 3세손인 손자 이시술, 4세손인 증손자 이세필, 5세손인 현손자 이태좌의 대를 이었다 이종성은 종2품 형조판서를 역임한 이세필의 손자이고 정1품 좌의정을 역임한 이태좌의 아들이다
이종성은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로 재직 중에 소론 소속이지만 소론인 이인좌가 일으킨 이인좌 난을 진압하여 1등공신에 책록됐다 경상도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민폐를 일소했다
이종성은 대사성과 부제학에 이어 정3품 이조참의가 되어 노론 중심의 탕평책을 반대하여 파직됐다 복직하여 대사헌 형조판서 영의정 등을 역임했다 영의정을 사임하고 정1품 영중추부사가 되어 사도세자를 교육했다 사도세자 장조의 묘정에 배향됐다
이유승은 이항복의 10세손으로 6세손인 내손자 이종성, 7세손인 곤손자 이경관, 8세손인 잉손자 이정규, 9세손인 운손자 이계조의 대를 이었다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이 되었다 좌부승지로 승진했다 고종 황제를 폐위하고 황위를 찬탈하려던 이재선을 탄핵하여 유배를 보냈다
이유승은 정2품 이조판서와 종1품 우찬성을 역임했다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국권회복의 상소를 올리고 매국노 박제순의 의정서리 임명에 반대했다 72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시호 효정(孝貞)을 받았다
이유승은 이제현과 신위의 뜻을 이어 우리 가요를 보전하고 계승하기 위해 전래의 시조를 한시로 번역한 속소악부(續小樂府)를 남겼다 이유승은 장남 이건영, 차남 이석영, 삼남 이철영, 사남 이회영, 오남 이시영, 육남 이호영 등을 낳았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이회영특집 #이종성 #이유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