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회영 특집 / 7 신흥무관학교)

역사야톡 2021. 8. 5. 20:0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회영 특집 / 7 신흥무관학교)

일제는 을사늑약을 체결하여 외교권을 박탈했고 정미7조약을 체결하여 군대를 해산했다 남한대토벌작전을 강행하여 항일의병을 탄압했다 경술국치로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하자 독립운동가들은 만주와 연해주 등으로 망명했다

이회영과 이시영이 1911년 지린성 류허현 쩌우자가(鄒家街)에 항일자치 단체인 경학사를 설립하고 신흥강습소(新興講習所)를 설립했다 신민회의 신(新) 자와 다시 일어난다는 흥(興) 자를 합쳐 만들었고 이철용과 이동녕이 초대 소장으로 취임했다

신흥강습소는 외부의 눈을 피하며 독립군을 길러내기 위해 강습소라고 하였다 신흥강습소는 중학과정과 군사과정을 두고 독립군을 양성했다 하니강(哈泥河)으로 이전하여 신흥중학으로 변경했다 조선의 젊은이들이 몰려오자 대두자(大肚子)로 옮겼다

신흥중학은 1919년 5월 3일 신흥무관학교로 변경했다 신흥무관학교는 서로군정서 창립의 모태가 되어 청산리 전투와 봉오동 전투의 승리의 견인차를 하였다 1920년 일제의 탄압으로 신흥무관학교가 폐쇄되자 검성중학원과 신창학교가 계승했다

신흥무관학교는 광복군 총사령관 지청천, 의열단장 김원봉, 인간문화재 1호 신한승, 아리랑의 저자 김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이동녕 주석과 이상용 국무령, 대한민국의 초대 총리 이범석과 5대 총리 변영태 등 2,000여 명이 참여했다

이시영은 해방이 되자 신흥무관학교를 계승하여 신흥대학을 설립했다 1951년 조영식이 인수하여 초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1960년 신흥대학은 경희대학교로 변경됐다 경희라는 교명은 광해군이 창건하여 일제가 철거한 경희궁에서 따온 것이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이회영특집 #신흥무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