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의제문)
김종직은 경남 밀양에서 유학자인 김숙자의 아들로 태어나서 아버지에게 수학했다 김종직은 정몽주-길재-김숙자의 학풍을 계승한 영남학파의 종조(宗祖)로서 많은 제자를 양성했다
김종직은 수양대군의 계유정난을 비판하였으나 세조 즉위 후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출사했다 항우가 초의제를 몰아낸 것을 비유하여 세조가 단종을 몰아낸 것을 비난하는 조의제문을 남겼다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김일손이 성조실록 사초에 기록하자 유자광과 이극돈이 연산군에게 사실을 고변했다 연산군은 세조를 비난했다는 이유로 김종직을 비롯한 사림파를 탄압하는 무오사화를 일으켰다
무오사화로 김종직은 부관참시되었고 김일손은 처형됐고 정여창은 유배됐다 유자광과 이극돈은 승진했다 김일손은 조의제문을 사초에 기록하여 무오사화로 처형됐다 정여창은 무오사화로 유배됐고 갑자사화로 부관참시되었다
유자광은 전남 영광에서 서얼로 태어나서 이시애 난과 남이의 옥을 처리하여 공신이 되었다 무오사화 갑자사화 중종반정에 참여했고 사헌부와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이극돈은 우의정 이인손의 아들이고 영의정 이극배의 동생이며 좌의정 이극균의 형이다 성종의 즉위를 도와 공신이 되었고 이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무오사화의 단초를 제공하여 관직에서 추탈됐다
세조는 세종의 아들이자 문종의 동생이며 단종의 숙부이다 연산군은 세조의 손자이자 성종의 아들이다 김종직은 세조 예종 성종 3대를 보필하며 대제학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조의제문 #김종직
김종직은 경남 밀양에서 유학자인 김숙자의 아들로 태어나서 아버지에게 수학했다 김종직은 정몽주-길재-김숙자의 학풍을 계승한 영남학파의 종조(宗祖)로서 많은 제자를 양성했다
김종직은 수양대군의 계유정난을 비판하였으나 세조 즉위 후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출사했다 항우가 초의제를 몰아낸 것을 비유하여 세조가 단종을 몰아낸 것을 비난하는 조의제문을 남겼다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김일손이 성조실록 사초에 기록하자 유자광과 이극돈이 연산군에게 사실을 고변했다 연산군은 세조를 비난했다는 이유로 김종직을 비롯한 사림파를 탄압하는 무오사화를 일으켰다
무오사화로 김종직은 부관참시되었고 김일손은 처형됐고 정여창은 유배됐다 유자광과 이극돈은 승진했다 김일손은 조의제문을 사초에 기록하여 무오사화로 처형됐다 정여창은 무오사화로 유배됐고 갑자사화로 부관참시되었다
유자광은 전남 영광에서 서얼로 태어나서 이시애 난과 남이의 옥을 처리하여 공신이 되었다 무오사화 갑자사화 중종반정에 참여했고 사헌부와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이극돈은 우의정 이인손의 아들이고 영의정 이극배의 동생이며 좌의정 이극균의 형이다 성종의 즉위를 도와 공신이 되었고 이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무오사화의 단초를 제공하여 관직에서 추탈됐다
세조는 세종의 아들이자 문종의 동생이며 단종의 숙부이다 연산군은 세조의 손자이자 성종의 아들이다 김종직은 세조 예종 성종 3대를 보필하며 대제학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서일환의역사야톡 #서일환의역사이야기 #첨단재활요양병원 #조의제문 #김종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