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 2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4 연개소문)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4 연개소문) 연개소문(淵蓋蘇文)은 고구려의 막리지 연자유(淵子遊)의 손자이자 막리지 연태조(淵太祚)의 아들이며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이어 막리지가 되어 당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천리장성(千里長城) 축조 책임자 역할을 맡았다 고건무(高建武)는 25대 평원왕의 아들이자 26대 영양왕의 동생으로 고구려-당나라 1차 전쟁과 2차 전쟁에 참전하여 승리했다 고건무는 영양왕이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사망하자 영류왕으로 즉위하여 대당 온건파가 되었다 영류왕(榮留王)은 고구려의 27대 왕으로 당나라의 침략을 목격하고 대당 온건파가 되었다 대당 강경파인 연개소문을 숙청하려 하였다 연개소문이 오히려 쿠데타를 일으켜서 영류왕을 살해하고 보장왕을 옹립하고 대막리지(大莫離支)가 되었다 연..

카테고리 없음 2024.01.3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3 고구려-당나라 전쟁)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3 고구려-당나라 전쟁) 이연(李淵)은 선비족 출신으로 수문제의 처조카로 수양제를 폐위하고 황태손을 수공제로 옹립하고 당왕(唐王)으로 진봉됐다 이연은 수공제로부터 양위를 받아 장안을 수도로 당(唐)나라를 건국하고 당고조(唐高祖)로 즉위했다 이세민(李世民)은 이연의 차남으로 황태자 이건성을 살해하는 현무문의변(玄武門之變)을 일으켜서 2대 당태종(唐太宗)으로 즉위했다 당태종은 돌궐 거란 토번 토욕혼 고창국을 정복하고 고구려를 침략했다 보장왕(寶臧王)은 고구려의 28대 왕으로 영양왕과 영류왕의 조카이다 연개소문의 막리지의 난으로 왕위에 올라 허수아비 왕이 되었다 당태종은 연개소문이 영류왕을 시해하고 보장왕을 옹립하자 이를 빌미로 고구려에 대한 침략을 강행했다 1차 고구..

카테고리 없음 2024.01.3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2 을지문덕)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2 을지문덕) 을지문덕(乙支文德)은 평양 출신으로 고구려의 무장이자 대신(大臣)이다 수양제가 100만 대군을 이끌고 2차 고구려-수 전쟁을 일으키고 출병했다 수문제는 요동성을 함락하지 못하자 우중문(于仲文)을 별동대로 조직하여 평양성으로 진군했다 을지문덕은 혈혈단신 수나라군 진영에 들어가 거짓으로 항복하고 적진을 파악하고 돌아왔다 우중문이 을지문덕을 붙잡으려 정예기병이 추격했다 을지문덕은 우중문을 희롱하는 오언 사구(五言四句)의 한시인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를 보냈다 신통한 책략은 하늘의 이치를 다했고(神策究天文) 오묘한 계책은 땅의 이치를 깨우쳤네(妙算窮地理) 싸움에서 이겨서 쌓은 공적이 높으니(戰勝功旣高) 족함을 알고 그만 돌아가면 어떠하랴(知足願云止)..

카테고리 없음 2024.01.2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1 고구려-수나라 전쟁)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1 고구려-수나라 전쟁) 양견(楊堅)은 선비족 출신으로 북주(北周) 3대 황제 우문옹에게 수주(隨州) 자사의 벼슬을 받았다 큰딸 여화를 황태자 우문윤에게 시집보내 표기대장군이 되었다 사위 우문윤이 4대 황제로 즉위하자 실세가 되었다 양견은 외손자인 우문연이 5대 황제로 즉위하자 섭정이 되어 실권을 장악하고 수왕(隋王)에 책봉됐다 양견은 우문연으로부터 선양을 받아 초대 황제 수문제(隋文帝)로 등극했고 국호를 수(隋)나라로 개칭하고 장안을 수도로 삼았다 영양왕(嬰陽王)은 고구려의 26대 왕으로 25대 평원왕의 장남이다 영양왕이 수나라가 중국을 통일하자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동태를 파악했다 수문제 고구려를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양성한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요서 지방을 선..

카테고리 없음 2024.01.2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산골정 산자)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산골정 산자) 어린 시절 산골정에는 텔레비전이 없어 영구집권을 위한 유신헌법을 '한국적 민주주의'라던 뉴스도 라디오를 통해 들었고 '엄마 나 챔피언 먹었어'라던 홍수환의 4전 5기의 권투도 라디오로 들었다. 국민학교 몇 학년 때인가 기억은 가물가물하지만 우산양반집에 처음으로 금성 흑백 테레비가 들어왔다 4개의 다리가 달린 상자에 달린 자바라를 좌우로 열면 테레비 화면이 나온다 여름이면 마당에 덕석을 깔고 모깃불을 피우고 동네 사람들이 함께 보았고 겨울이면 친척들만 겨우겨우 들어가서 테레비를 볼 수 있었다. 그나마 9시 뉴스가 모두가 귀가하는 약속을 지켰다. 아∼∼ 아하∼아아아아∼ 하고 외치는 '밀림의 왕 타잔'과 전 국민을 반공방첩의 전사로 만든 '전우' 미국의 위대함을 알려준 ..

카테고리 없음 2024.01.27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 음식 특집③ 담양 떡갈비와 송순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 음식 특집③ 담양 떡갈비와 송순 서일환 언론학박사·행복한요양병원 본부장 담양군(潭陽郡)은 광주광역시의 북쪽에 있는 군으로 병풍산에서 발원한 영산강 주변에는 전남평야가 있고 담양댐이 풍수해와 갈수해의 유량을 조절한다. 추월산, 금성산, 광덕산 등이 전북과 도계를 이룬다. 서쪽에는 병풍산과 불태산이 있고 동남쪽에는 월봉산과 무등산이 있다. 담양에는 죽녹원을 비롯해 메타세쿼이아길, 관방제림. 창평슬로시티, 명옥헌, 소쇄원, 가사문학관, 금성산성 등이 있다. 담양군은 마한 때 구소국(狗素國)에 속했고 백제 때 추자혜군(秋子兮郡)으로 불렸다. 신라 경덕왕의 한화정책으로 추성군(秋成郡)으로 개명했다. 고려 현종 때 담양현으로 개칭됐고 조선 태조가 조구(祖丘) 국사(國師)의 고향이라 담양군..

카테고리 없음 2024.01.2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0 바보온달)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0 바보온달) 평원왕(平原王)은 고구려의 25대 왕으로 23대 안원왕의 손자이자 24대 양원왕의 장남이며 평강공주의 아버지이자 온달의 장인이다 평원왕은 8세에 즉위하여 온달을 앞세워 선비족이 세운 북주(北周)의 침략을 방어했다 평강공주(平岡公主)는 평원왕의 딸이며 온달의 부인이다 평원왕은 어린 딸이 울기를 잘하자 바보온달에게 시집을 보낸다고 놀렸다 평온왕이 고씨(高氏) 가문으로 시집보내려고 하자 평강공주는 궁궐을 뛰쳐나와 온달을 찾아갔다 온달(溫達)은 용모가 못생겼고 가난하여 남루한 옷을 입고 거리에서 구걸하여 장님인 모친을 봉양하자 바보온달이라 하였다 평강공주는 온달의 순수함과 잠재력을 확인하고 온달의 아내가 되어 학문을 가르쳤다 온달은 평강공주가 궁궐에서 가져..

카테고리 없음 2024.01.2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9 장수왕)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9 장수왕) 장수왕(長壽王)은 고구려의 20대 왕으로 19대 광개토대왕의 아들이며 21대 문자명왕의 할아버지이다 몸과 얼굴이 크고 기운이 호걸을 초월했다고 전한다 15세에 태자에 책봉됐고 18세에 즉위했다 중국은 사마의의 손자인 사마염이 건국한 서진(西晉)이 팔왕의 난과 영가의 난이 발생하여 오호십육국시대가 도래했다 오호십육국을 선비족 탁발부가 건국한 북위(北魏)가 통일하자 강북이 북조와 강남의 남조가 각축하는 남북조 시대가 시작됐다 장수왕은 남조(南朝)와 북조(北朝)의 국가들과 화친을 맺고 등거리 실리외교를 펼쳤다 백제의 개로왕이 북위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 협공을 요청했다 장수왕은 백제와 신라가 동맹을 맺고 고구려에 대항하자 남진정책으로 백제와 전면전을 준비했다 ..

카테고리 없음 2024.01.2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8 광개토대왕)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8 광개토대왕) 고국양왕(故國壤王)은 고구려의 18대 왕으로 17대 고국원왕의 아들이자 소수림왕의 동생이며 광개토대왕의 아버지이다 선비족이 후연後燕)을 건국하자 후연을 급습하여 요동을 처음으로 차지했다 불교를 장려하고 종묘를 세우고 신라와 화친했다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은 고구려의 19대 왕으로 18대 고국양왕의 아들이다 12세에 태자로 책봉됐고 18세에 왕으로 즉위했고 독자적인 연호 영락(永樂)을 사용했다 백제 가야 왜를 처단하기 위한 목적 평양 중시하여 직접 평양을 순행했다 광개토대왕은 백제의 북쪽을 공격하여 한강 이북을 정복하고 백제의 침략을 방비하기 위해 고구려 남쪽 변경에 7개의 성을 쌓았다 백제 아신왕으로부터 '영원한 노객(奴客)이 되겠다'는 항복을 받았..

카테고리 없음 2024.01.23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7 소수림왕)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7 소수림왕) 소수림왕(小獸林王)은 고구려의 17대 왕으로 고국원왕의 아들이며 어려서 신체가 장대하고 지략이 웅대했다 태자로 책봉되어 전연(前燕)과 전진(前秦)을 다녀와서 국제정세를 파악했다 부왕인 고국원왕이 전사하자 즉위했다 소수림왕은 문치주의(文治主義)를 표방하고 내정 안정화에 주력했다 또한 전연(前燕)을 정복하여 화북 일대를 통일하고 남쪽의 동진(東晋)을 공격하기 위해 배후인 고구려를 공격하려 하던 전진(前秦)과 화친을 맺었다 고구려는 전진(前秦)의 왕 부견(苻堅)이 승려 순도(順道)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을 전했고 승려 아도(阿道)가 불도를 전했다 소수림왕은 불교를 공인하고 순도에게 초문사(肖門寺)를, 아도에게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창건하여 머물게 하였다 소..

카테고리 없음 2024.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