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삼국시대특집 / 1 삼한정통론) 삼한정통론(三韓正統論)은 홍여하(洪汝河)의 동국통감제강(東國通鑑提綱)에서 처음으로 제기됐다 삼한정통론 우리나라 고대사의 정통성에 대한 학설로 고조선의 정통이 삼한(三韓) 가운데 마한(馬韓)으로 이어진다고 주장으로 마한정통론이라 한다 이익(李瀷)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송나라의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의 영향을 받아 단군이 우리나라의 시조이며 기자가 이를 계승했고 다시 마한으로 이어졌다고 성호선생문집(星湖先生文集)에 기록했다 이익은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을 정통으로 보고 준왕(準王)이 찬탈자 위만(衛滿)을 피해 남천하여 마한을 개창하고 마한왕이 되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위만조선(衛滿朝鮮)과 한사군(漢四郡)은 우리역사의 정통으로 보지 않았다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