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26

[역사 속 전라도] 가사문학 특집 ③ 식영정과 임억령

[역사 속 전라도] 가사문학 특집 ③ 식영정과 임억령 서일환 언론학박사·행복한요양병원 본부장 식영정(息影亭)은 김성원(金成遠)이 스승이자 장인이던 임억령(林億齡)을 위해 전라도 담양의 창계천 언덕 위에 지어진 정자이다. 임억령이 '그림자가 쉬고 있는 정자'라는 뜻으로 식영정이라 명명했다. 성산(星山)의 언덕과 창계천 계곡에 자리하고 있는 식영정, 부용당, 서하당 등이 송림과 배롱나무 등이 아름다운 원림을 구성하고 있어 담양 식영정 일원(潭陽 息影亭 一圓)이라 하며 명승 제57호로 지정됐다. 서하당(棲霞堂) 김성원(金成遠)은 임억령(林億齡)의 사위이자 김윤제의 문인으로 정철과 함께 수학했다. 1592년 동복현감에 재임 중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활동에 나섰으나, 1596년 조카인 의병장 김덕령이 무고(誣..

카테고리 없음 2024.04.0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5 신라사찰)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5 신라사찰) 흥륜사(興輪寺)는 13대 미추 이사금이 신라 최초로 건립했고 토착세력의 박해로 폐허가 되었다 23대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하고 재건했고 다시 도적 떼에 의해 소실됐다 신라 10대 불교 성인의 조각이 모셔졌고 사적 제15호로 지정됐다 분황사(芬皇寺)는 27대 선덕여왕 때 창건된 사찰로 불국사의 말사이며 자장과 원효가 머물었고 솔거(率居)가 관음보살도를 남겼다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모전석탑(模塼石塔)은 국보 제30호로 지정됐다 감은사(感恩寺)는 30대 문무왕이 부처의 힘을 빌려 왜구를 격퇴하고자 사찰을 짓기 시작하여 아들 신문왕이 완공했다 금당 아래에 용혈을 파서 동해와 연결했고 터만 남아있어 감은사지라고 불린다 사적 제31호로 지정됐다 봉..

카테고리 없음 2024.04.0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4 신라3보 & 신라3기)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4 신라3보 & 신라3기) 신라3보(新羅三寶)는 신라 왕실의 권위와 신성함을 상징하는 세 가지 보물을 말한다 신라삼기(新羅三奇)는 초대 박혁거세의 금척(金尺), 27대 선덕여왕의 화주(火珠), 31대 신문왕의 옥적(玉笛)을 말한다 "고려왕이 신라를 치려고 하다가 말하기를 신라에는 3가지 보배가 있으니 침범해서는 안 된다. 그 첫째는, 황룡사장륙존상이요, 둘째는, 황룡사 9층 목탑이요, 셋째는, 진평왕의 천사옥대이다" 라고 삼국유사에 기록됐다 신라 황룡사(皇龍寺)는 백제의 미륵사, 고구려의 정릉사와 함께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호국 사찰이다 황룡사는 24대 진흥왕이 17년 공사 끝에 창건됐다 솔거가 황룡사 벽에 그린 노송도(老松圖)에 새들이 앉으려다가 부딪혀 떨어졌다고 ..

카테고리 없음 2024.04.03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3 신라십성)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3 신라십성) 신라십성(新羅十聖)은 신라 최초의 사찰인 흥륜사에 모셔졌던 신라 10대 불교 성인을 말한다 금당의 동쪽에 아도 이차돈 혜숙 안함 의상이 있었고 서쪽에는 표훈 사파 원효 혜공 자장이 있었다 아도(阿道)는 고구려의 승려로 눌지왕 때 고구려에서 신라에 불법을 전하고 최초의 사찰인 흥륜사를 세웠다 불교를 박해하자 무덤에 들어가 목숨을 끊었다 법흥왕이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고 흥륜사를 개축 세웠다 자장(慈藏)은 진골 출신으로 당나라의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가사와 사리를 받고 귀국했다 황룡사 9층 목탑을 건립하고 통도사에 금강계단을 세우고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안치했다 김춘추와 김유신의 견제를 받고 은둔했다 원효(元曉)는 6두품 ..

카테고리 없음 2024.04.0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2 신라삼최 & 신라사선)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2 신라삼최 & 신라사선) 신라삼최(新羅三崔)는 신라의 6두품으로 이름을 떨쳤던 최치원 최언위 최승우 등 세 명의 최씨를 말한다 신라사선((新羅四仙)은 신라의 전설적인 영랑 술랑 남랑 안상 등 네 명의 화랑을 말한다 최치원(崔致遠)은 당나라에 건너가서 장원으로 급제했고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지어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귀국하여 시무 10여 조를 올렸으나 실패하자 은둔했고 끝까지 신라를 섬겼고 해동 18현 중의 한 사람이다 최언위(崔彦撝)는 최치원의 사촌동생이자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유학자로 당나라에 유학하여 과거에 급제했다 귀국하여 경순왕과 함께 고려 왕건에 귀부하여 천수를 다하고 죽을 때까지 벼슬을 하였다 최승우(崔承祐)는 당나라로 유..

카테고리 없음 2024.04.0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1 신라전설)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1 신라전설) 김알지(金閼智)는 3대 탈해 이사금이 나뭇가지에서 매달린 금빛 상자에서 발견하여 거둔 어린아이로 김알지가 발견된 숲을 계림(鷄林)이라 하였다 김알지의 6대손인 13대 미추 이사금이 김씨로서는 최초로 신라의 왕으로 즉위했다 연오랑(延烏郞)이 8대 아달라 이사금 때 해조를 따다가 일본으로 건너가자 왜인들의 왕이 되었다 세오녀(細烏女)가 남편을 찾아 일본으로 건너가자 신라에서 해와 달이 빛을 잃자 연오랑과 세오녀가 하늘에 제사를 올리자 해와 달이 빛을 찾았다 박제상(朴堤上)은 19대 눌지 마립간의 명을 받아 고구려에 볼모로 있던 왕제 복호(卜好)를 구하여 신라로 돌아왔다 왜국에 볼모로 있는 왕자 미사흔(未斯欣)을 구하고 볼모가 되었다 박제상의 부인이 남편을..

카테고리 없음 2024.03.3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왕조실록 4대사고)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왕조실록 4대사고)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조선 태조 때부터 철종 때까지 25대 427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연대순으로 적은 사서를 말한다 국보 151호로 지정됐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됐다 조선왕조실록은 사관 이외에는 아무도 볼 수 없는 사초(史草)와 시정기(時政記)를 기본으로 승정원일기 의정부일기를 자료로 삼아 기록했다 왕이 승하하면 다음 왕이 실록청을 설치하여 전왕대의 실록을 편찬했다 사초로 인해 연산군 때 무오사화가 일어났고 선조신록은 효종 때, 현종실록은 숙종 때 경종실록을 정조 때 집권당이 변경되자 실록이 수정됐다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은 일제의 요구로 기록됐다 사고(史庫)는 고려와 조선의 실록을 보관하기 위해 설치했던 창고를 말한다 태조부터 목종까지 기록한..

카테고리 없음 2024.03.3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갑신정변)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갑신정변) 친청파인 명성왕후는 청나라의 지원을 받아 쇄국정책을 추진하던 흥선대원군을 축출했다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등이 일본의 병력지원을 받아 수구당을 몰아내고 일본식 개화를 추진하려는 갑신정변을 일으켜서 친일장권을 수립했다 친일정권은 명성왕후가 청나라 위안스카이에게 구원을 요청하여 삼일천하로 끝이 났다 백성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일본에 의존하여 위로부터 근대화를 추진하려던 갑신정변은 실패했고 조선에서 청과 일의 조선침략이 본격화되었다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은 일본으로 망명했고 홍영식 박영교는 사망했다 청과 일은 조선의 의사를 무시하고 뎬진조약이 체결하여 조선에 군대를 파견할 경우 상대방에 미리 통보할 것을 명시했다 텐진조약은 청일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김옥균은 장원급제하여 교리 ..

카테고리 없음 2024.03.2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0 신라왕릉)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10 신라왕릉) 오릉(五陵)은 신라 초대 박혁거세 거서간과 알영부인, 2대 남해 차차웅, 3대 유리 이사금, 5대 파사 이사금 다섯 명의 능이다 삼국유사에는 박혁거세가 승천하여 시체가 다섯으로 나뉘어 떨어진 곳에 다섯 무덤을 만들었다고 전한다 배동삼릉(拜洞三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에 있는 8대 아달라이사금, 53대 신덕왕, 54대 경명왕 등 3왕의 무덤이라 전한다 아달라이사금은 박씨 마지막 왕이고 신덕왕과 경명왕은 728년 만에 부활한 박씨 왕조의 왕이다 무열왕릉(武烈王陵)은 29대 태종무열왕의 왕릉으로 사적 제20호로 지정됐다 아들 문무왕이 세운 태종무열대왕지비(太宗武烈大王之碑)라는 능비가 있어 무열왕릉으로 비정한다 신라의 왕릉 가운데 무덤 주인을 확실히 알 수..

카테고리 없음 2024.03.2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9 신라여왕)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9 신라여왕) 왕(王)의 부인을 왕비(王妃)라고 하고 여성이 왕인 경우를 여왕(女王)이라 한다 여성 황제는 여제(女帝)라고 하고 여성 군주는 여주(女主)라고 한다 많은 나라에서 일부일처제의 영향으로 서자 계승이 불가능하여 여왕이 단독으로 재위했다 왜국의 33대 스이코 덴노(推古 天皇)는 일본 최초의 여성 군주이며 동아시아 최초의 여성 군주로 593년부터 628년까지 재위했다 비다쓰 텐노(敏達天皇)의 이복동생이자 황후에서 텐노로 즉위했고 쇼토쿠 태자(聖徳太子)가 섭정했다 당나라의 측천무후(測天武后)는 2대 당태종의 후궁이자 3대 당고종의 황후이며 4대 당중종과 5대 당예종의 생모이다 스스로 황제가 되어 국호를 무주(武周)로 개칭하고 690년부터 705년까지 통치했다 중..

카테고리 없음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