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2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영암특집 / 3 도선(道詵)의 땅)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영암특집 / 3 도선(道詵)의 땅) 도선국사(道詵國師)는 전라도 영암군 구림마을 출신으로 15세에 승려가 되었다. 화엄사에서 불법을 익혔고 옥룡사에서 선종했다. 도선은 풍수지리설과 음양도참설의 대가로 도선비기(道詵秘記)를 남겼다. 고려 숙종 때 왕사(王師)로, 인종 때 국사(國師)로 추봉됐다. 고려 태조 왕건은 도선 사상에 영향을 받고 자손을 경계하는 훈요십조(訓要十條) 2조, 5조, 8조를 남겼다. 구림마을은 2,200년 동안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450여 년 동안 구림대동계가 존속된 마을이다. 일본에 천자문을 전한 백제의 왕인박사, 고려의 개국공신인 최지몽, 조선팔문장계인 최경창 등을 배출한 마을이다. 구림(鳩林)은 처녀가 낳은 아이를 숲에 버리자 비둘기가 숲을 만들어 살렸다..

카테고리 없음 2024.03.0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영암특집 / 2 왕인(王仁)의 땅)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영암특집 / 2 왕인(王仁)의 땅) 왕인박사(王仁博士)는 전라도 영암군 성기동(聖起洞)에서 태어났다. 월출산 기슭의 책굴(冊窟)에서 학문에 정진했고 문산재(文山齋)와 양사재(養士齋)에서 후학을 양성했다. 18세 때 경서(經書)에 능통하여 박사(博士)가 되었고 32세 때 오진 덴노의 초청을 받아 천자문을 가지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오진 텐노의 태자인 우치노와 키이로츠코(菟道稚郞子)의 스승이 되어 아스카(飛鳥) 문화의 원조로 추앙받고 있다. 왕인박사유적지는 월출산 문필봉 기슭에 자리 잡은 왕인박사의 탄생지에 조성된 유적지이다. 매년 4월에 왕인박사유적지와 10리 벚꽃길에서 왕인문화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유적지에는 왕인묘(사당), 내삼문(內三門), 외삼문(外三門), 문산재(文山齋), ..

카테고리 없음 2024.03.0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영암특집 / 1 신령스러운 영암)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영암특집 / 1 신령스러운 영암) 영암(靈巖)의 신령 령(靈)은 비우(雨), 입구(口), 입구(口), 입구(口), 무당무(巫) 자를 써서 무당이 비가 오기를 비느라 여러 그릇의 제물을 준비하고 있는 신령한 분위기를 만든 모양이다. 바위 암(巖)은 메산(山), 입구(口), 입구(口), 기슭엄(厂), 감히감(敢) 자를 써서 산 위 굴바위 위에 돌들이 튀어나와 굳센 암석을 이룬 모습이다. 입구(口) 자가 5개나 되어 비오는 날 무당의 말을 조심해야 한다는 뜻이다. 영암(靈巖)은 백제 때 달이 뜬다고 하여 월라군(月奈郡)이라 하였고 신라 때 신령스러운 바위가 있어 영암군으로 개칭됐다. 고려 성종 때 낭주도호부로 승격했고 현종 때 영암군으로 환원됐다. 영암군은 전라남도 서남부에 있는 군으..

카테고리 없음 2024.03.03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일본의 역사)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일본의 역사) 고훈시대(古墳時代)는 3세기 중반부터 7세기 후반까지 시대이다 야마토 조정이 일본 통일을 시작하며 고분이 축조되고 한자가 수입되어 교훈 문화가 형성됐다 고구려의 남진정책으로 백제와 가야의 난민들이 일본 열도로 피난하여 도래인이 급증했다 아스카시대(飛鳥時代)는 6세기 후반부터 8세기 초반까지 아스카 문화(飛鳥文化)가 개화한 시대이다 한반도에서 불교가 전래되면서 시작되어 중국의 정치제도를 수용해 전성기를 맞이했다 나라시대는 수도를 나라의 헤이조쿄로 천도한 710년부터 헤이안쿄로 다시 천도한 794년까지 84년간을 말한다 '일본'이라는 국호가 처음으로 사용됐고 불교 문화가 화려한 꽃을 피웠으며 중국문화가 적극적으로 수용됐다 헤이안시대는 헤이안쿄(平安京)로 천도한 794년..

카테고리 없음 2024.03.0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자현)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자현) 남자현(南慈賢)은 일제강점기에 경상도 안동에서 유학자인 아버지 남정한(南珽漢)과 진성이씨 사이의 1남 3녀 중 막내딸로 태어났다 19세에 김영주(金永周)와 혼인했고 결혼 4면 만에 남편 김영주가 을미의병에 참가하여 전사했다 1919년 3.1운동 직후 남자현은 유복자 김선태(金善台)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했다 무오독립선언을 주도한 김동삼의 조직한 무장항일 운동단체인 서로군정서에 참여하며 군자금 모금과 독립운동가 옥바라지 등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1926년 남자현은 사이토 마코토 총독의 암살을 위해 경성부에 잠입했다 하지만 송학선(宋學先) 의사가 창덕궁에서 사이토 마코토 총독을 암살하려는 의거를 일으켜서 경계 강화로 만주로 돌아갔다 1932년 남자현은 영국인 리튼이 이끄는 ..

카테고리 없음 2024.03.0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백제특집 / 10 삼충신)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백제특집 / 10 삼충신) 계백(階伯)의 5천 결사대는 황산벌에서 신라군에게 참패했고, 의직(義直)의 2만 수군이 백강에서 당나라군에게 전멸하여 백제는 678년 만에 멸망했다 조국을 지키다가 사망한 계백 성충 흥수를 백제의 삼충신이라 하여 삼충사(三忠祠)에 제향한다 계백(階伯)은 백제의 군인으로 660년 나당연합군의 당나라 소정방이 13만 수군을, 신라 김유신이 5만 육군이 수륙 협공으로 백제를 침략하자 5천 결사대를 이끌고 황산벌에서 싸우다가 중과부적으로 패배하고 전사했다 "작은 나라의 병사로 당의 대군과 신라를 상대해야 하니, 국가의 존망을 알 수 없다. 처자식이 포로로 잡혀 노예가 될지도 모른다. 살아서 치욕을 당하느니 차라리 쾌히 죽는 것이 낫다."라고 계백은 처자를 죽이..

카테고리 없음 2024.02.2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백제특집 / 9 의자왕)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백제특집 / 9 의자왕) 백제 31대 의자왕은 무왕의 장남으로 40세에 태자에 책봉됐다 성품이 용맹스럽고 어버이를 효로써 섬기고 형제와 우애롭게 지냈다 공자의 적통을 이어받은 증자(曾子)에 비견하여 해동증자(海東曾子)로 불렸다 의자왕은 무왕이 사망하자 즉위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신라를 공격하여 가야의 영토를 차지했다 윤충에게 명하여 군사적 요충지인 대야성을 공격하고 김춘추의 사위인 김품석과 장녀인 김고타소를 살해하여 성왕의 원수를 갚았다 의자왕은 친고구려 정책을 추진하며 신라가 당나라와 통하는 당항성(黨項城)을 공격했다 의자왕은 수나라가 멸망하고 들어선 당나라와 단교하고 신라를 공격하여 패망 직전까지 몰아붙였다 신라 김춘추는 당나라와 나당동맹 맺었다 의자왕은 근초고왕과 무왕에 이어..

카테고리 없음 2024.02.2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백제특집 / 8 미륵사지)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백제특집 / 8 미륵사지) 백제 26대 성왕은 웅진성에서 사비성으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개칭했다 성왕은 신라 진흥왕과 동맹을 맺고 고구려로부터 한강 유역을 되찾았다 백제는 진흥왕의 배신으로 성왕은 관산성전투에서 전사했고 신라에 한강 유역을 빼앗겼다 백제 30대 무왕은 신라를 공격하여 연전연승하여 백제는 다시 부흥기를 맞이했다 왕권 강화를 위해 사비궁(泗沘宮)을 중수했고 궁남지(宮南池)를 조성했다 금마저로 천도할 계획을 수립하고 백제 최대 규모의 미륵사를 창건했다 미륵사(彌勒寺)는 백제 30대 무왕의 왕비인 사택왕후의 발원으로 지어진 호국 사찰이다 무왕이 사택왕후와 함께 사자사(獅子寺)로 향하고 있었을 때 연못 속에서 미륵삼존불(彌勒三尊佛)이 나타나자 미륵사를 짓고 불전 회랑..

카테고리 없음 2024.02.2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백제특집 / 7 서동요)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백제특집 / 7 서동요) 선화공주님은 善花公主主隱 남몰래 사귀어 두고 他密只嫁良置古 서동 서방을 薯童房乙 밤에 몰래 안고 가다 夜矣 夗卯乙抱遣去如 무왕의 '서동요(薯童謠)'는 월명사의 '도솔가(兜率歌)', 견우노인의 '헌화가(獻花歌)' 등과 함께 삼국유사에 수록된 신라의 4구체 향가로 현존하는 모든 향가 중에서 가장 짧다 서동은 백제 무왕이며 선화공주는 신라 진평왕의 딸이라고 전한다 백제 30대 무왕(武王)은 익산에서 검은 용이 과부와 통정하여 태어났다 법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신라와 대립했다 아명은 서동(薯童)이며 41년 동안 재위하며 백제의 부흥을 목적으로 익산천도를 위해 미륵사를 조성했다 신라 26대 진평왕(眞平王)은 진흥왕의 손자이자 동륜태자의 아들이며 미실궁주의 남편이..

카테고리 없음 2024.02.2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백제특집 / 6 사비천도)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백제특집 / 6 사비천도) 22대 문주왕(文周王)은 고구려 장수왕에게 살해당한 개로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수도를 위례성에서 웅진성으로 옮기고 백제의 부흥에 노력했다 문주왕은 재위 2년 만에 권력을 장악한 좌평 해구(解仇)의 쿠데타에 의해 암살을 당했다 23대 삼근왕(三斤王)이 좌평 해구(解仇)가 섭정했고 재위 3년 만에 의문의 죽임을 당했다 24대 동성왕(東城王)은 재위 22년 동안 좌평 해구(解仇)를 토벌하고 혼란을 수습했고 사치와 향락을 일삼다가 좌평 백가(苩加)의 쿠데타에 의해 암살을 당했다 25대 무령왕(武寧王)은 일본 규슈에서 태어났고 동성왕이 살해되자 즉위하여 좌평 백가(苩加)를 토벌했다 지방에 22담로를 설치하고 왕족을 파견하여 왕권을 강화했다 재위 23년 만에 사..

카테고리 없음 2024.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