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신라특집 / 5 신라향가) 향가(鄕歌)는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향찰로 표기된 우리나라 고유의 서정시이다 삼국은 한문을 공식 문자로 사용하고 유학과 불교를 수용하여 역사책을 편찬하고 구비문학과 기록문학이 발전했다 고구려 을지문덕의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는 고구려의 기상을 표현했고 신라 진덕여왕의 치당태평송(致唐太平頌)은 신라의 비굴함을 표현했다 신라에서는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는 향찰(鄕札)이 창안되어 향가(鄕歌)가 나타났다 향가(鄕歌)는 불교적 기원, 정치적 이념, 주술적 성격 등의 내용을 담은 작품으로 고려의 승려 일연이 저술한 삼국유사(三國遺事)에 14수, 고려의 승려 균여가 저술한 균여전(均如傳)에 11수 등 총 25수가 전한다 헌화가 / 김순정 붉은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