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 2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越南亡國史 특집 / 3 제국주의 프랑스)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越南亡國史 특집 / 3 제국주의 프랑스) 1789년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서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하고 부르봉 왕가의 마지막 왕인 루이 16세와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가 단두대에서 처형됐다 프랑스는 왕정이 폐지되고 프랑스 공화국이 수립됐다 1804년 나폴레옹이 부르봉 왕조를 계승하여 프랑스 제1제국을 수립하고 프랑스 역사상 최초의 황제로 즉위했다 나폴레옹은 러시아 원정 실패하고 몰락했다 나폴레옹의 재기를 위한 노력은 백일천하로 실패하고 왕정복고가 이룩했다 7월 혁명과 2월 혁명에 이어 나폴레옹 3세가 즉위하여 아프리카 인도차이나 등지에 식민지를 개척하는 정책을 펼쳤다 나폴레옹 3세가 프로이센 전쟁에서 패배하여 붕괴하고 제3공화국이 수립됐다 19세기 서유럽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으로 잉여생..

카테고리 없음 2023.10.3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越南亡國史 특집 / 1 월남망국사)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越南亡國史 특집 / 1 월남망국사) 월남망국사는 1905년 중국의 민족주의 혁명학자 량치차오(梁啓超)와 베트남의 혁명가 판보이쩌우(潘佩珠)가 일본 요코하마에서 월남의 망국에 관한 대화를 기록한 한문책이다 중국에서 독립한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는 과정을 서술했다 첫째 부분은 서태후에게 쫓겨나서 일본으로 망명한 중국의 유학자 량치차오(梁啓超)가 프랑스로부터 독립운동을 전개위해 일본에 가서 신무기를 도입하려던 판보이쩌우(潘佩珠)를 일본에서 만나 대담한 내용을 기록했다 둘째 부분은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로 프랑스 침략으로 멸망한 응우옌왕조의 멸망과 제국주의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사, 애국지사의 근왕운동(勤王運動), 프랑스 침략으로 고통받는 월남인의 현실을 판보이쩌우가 기록했다 셋째 ..

카테고리 없음 2023.10.2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중국 소설)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중국 소설) 수당연의(隋唐演義)은 원말 망초에 나관중이 지은 역사소설이다 양제의 폭정으로 수나라가 멸망하는 과정과 이연과 이세민의 당나라를 건국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청나라 말에 저인획(褚人獲)에 의해 덧붙여진 통속소설이다 잔당오대사연의(殘唐五代史演義)는 원말 망초에 나관중의 작품으로 당나라 18대 희종 즉위부터 오대십국 시대를 거쳐 조광윤이 송나라 건국까지 80년간의 사건을 담은 소설이다 한글 필사본 잔당오대연의는 현존하는 유일한 번역본이다 평요전(平妖傳)은 원말 망초에 나관중의 작품으로 송나라 인종 시기 왕칙(王則)이 반란을 일으키자 마수(馬遂) 제갈수지(諸葛遂智) 이수(李遂) 등이 반란을 진압하는 내용이다 조선 영조 때 전래하여 널리 읽혔다 수호지(水滸誌)는 원나라 작가..

카테고리 없음 2023.10.2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밀풍군과 이인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밀풍군과 이인좌) 밀풍군 이탄(李坦)은 인조의 고손자이자 소현세자의 증손자이며 경안군 이석견의 손자이자 임창군 이곤의 아들이다 경종 때 사은사로, 영조 때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밀풍군은 숙종의 아들인 연령군의 양자로 입적했다 영조가 즉위하여 소론을 축출하고 노론을 중용했다 권력에서 배제된 소론은 영조는 숙종의 아들이 아니며 경종은 영조에 의해 살해됐다'라는 소문을 퍼뜨려 민심을 뒤흔들었다 소론 소속의 이인좌가 반란을 일으키며 밀풍군을 임금으로 추대했다 반란군은 경종의 복수와 밀풍군 옹립을 주장하며 이인좌는 충주성을 함락하고 정희량은 거창을 함락했다 밀풍군은 역모죄로 체포되어 역신의 수괴가 되어 자결을 명령받아 3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소현세자는 생부 인조에게 살해됐고 경안군..

카테고리 없음 2023.10.2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동남아시아 특집 / 10 베트남)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동남아시아 특집 / 10 베트남)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인도차이나 반도에 있는 나라로 베트남 또는 비엣남으로 불린다 인구는 9,700만 명으로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이며 세계에서 15번째로 인구가 많다 면적은 남한의 3배가 넘는다 베트남 최초의 국가는 기원전 2879년 수립된 홍방왕조이며 기원전 257년 어우락이, 기원전 208년 남비엣이 세워졌다 기원전 111년 한무제가 남비엣을 정복하여 10세기까지 중국이 베트남을 통치했다 베트남 최초로 베트남인이 스스로 자립한 왕조인 응오왕조가 939년 수립되어 수많은 왕조가 흥망을 거듭했다 베트남의 마지막 통일 왕조인 응우옌 왕조가 1802년 수립됐으나 1884년 프랑스와 전쟁에 패배하여 괴뢰국가로 전락했다 베트남은..

카테고리 없음 2023.10.2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동남아시아 특집 / 9 캄보디아)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동남아시아 특집 / 9 캄보디아) 프놈왕국(扶南王國)은 크메르족이 1세기에 메콩강 하류 지역에서 발흥하여 도시국가들의 연맹 형태로 발전했다 프놈왕국은 중국과 인도의 해상무역을 중계하여 발전했다 프놈왕국은 6세기에 속국이던 첸라왕국에 멸망했다 첸라왕국(眞臘王國)은 크메르족이 메콩강 중앙 유역에서 푸놈왕국을 병합하여 발전한 왕국이다 자야바르만 1세가 메콩강 삼각주 유역을 통일했다 왕권 다툼으로 내륙의 첸라왕국과 해안의 첸라왕국으로 분열했다 크메르제국은 802년 자야바르만 2세가 건설하여 내륙의 첸라왕국과 해안의 첸라왕국을 통일했다 수리야바르만 2세가 37년에 걸쳐 앙코르 와트를 건설하여 힌두교의 비슈누신에게 봉헌했다 자야바르만 7세가 새로운 수도로 앙코르 톰을 축조하며 크메르제국 최..

카테고리 없음 2023.10.2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동남아시아 특집 / 8 태국)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동남아시아 특집 / 8 태국) 타이왕국은 말레이 반도와 인도차이나 반도 사이에 걸쳐 있는 국가로 태국이라 한다 인구는 6,600만 명으로 세계에서 22번째로 많고 면적은 513,120㎢로 세계에서 50번째로 넓은 국가로 남한의 5배이며 프랑스와 비슷하다 태국은 타이족이 75%를 차지하고 공식언어는 태국어이고 태국 문자를 사용한다 인구의 95% 이상이 소승불교를 신봉한다 국왕을 모독하고 사진과 초상을 훼손하면 불경죄로 강하게 처벌을 받는다 무에타이가 가장 인기가 높다 방콕은 태국의 수도이자 최대도시이며 1782년 라마1세가 수도로 삼았고 동양의 베네치아라고 불린다 방콕은 세계에서도 가장 큰 도시 중의 하나이자 세계에서 가장 교통이 혼잡한 도시이다 베트남전쟁 당시 미군 병사들이 휴양..

카테고리 없음 2023.10.2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동남아시아 특집 / 7 브루나이 & 동티모르)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동남아시아 특집 / 7 브루나이 & 동티모르) 브루나이는 동남아시아 보르네오섬의 북서 연안에 있는 술탄국이다 북쪽은 남중국해이고 3면은 말레이시아 사라왁주에 동부와 서부 두 개로 나뉘어서 둘러싸여 있다 서부와 동부를 연결하는 템부롱대교를 건설했다 부르나이의 이슬람 원리주의를 강조하여 절도범의 손목을 자르거나 동성애자나 간통을 저지른 자에게 투석형까지 허용한다 헌법상으론 종교의 자유가 보장됐지만 불경 염주 묵주 성경 등은 금지됐다 국왕과 왕실의 사치가 극심하다 브루나이에서 1929년 석유가 발견되자 영국으로부터 주목을 받았다 2차대전 당시 일본에 이어 다시 영국이 점령했다 1984년 1월 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브루나이만 해저의 원유와 천연가스 생산으로 국민소득이 높다 브루나이..

카테고리 없음 2023.10.23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동남아시아 특집 / 6 싱가포르)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동남아시아 특집 / 6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사자의 도시라는 뜻이고 말레이반도의 끝에 63개의 섬으로 구성된 항구도시이자 도시국가이다 북쪽은 조호르해협 건너 말레이시아가 있고 남쪽은 싱가포르해협 건너 인도네시아가 있다 의원 내각제를 채택하여 총리가 권한을 행사한다 싱가포르는 16세기에는 포르투갈, 17세기에는 네덜란드의 지배를 받았다 1867년 영국의 직할 식민지가 되었다 2차대전 당시 일본이 점령했고 다시 영국이 점령했다 1955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말라야연방과 합병했다 1965년 중국계가 다수인 싱가포르는 말레이계 우대정책을 펼치던 말라야연방부터 독립했다 4세대 중국계 싱가포르인 리콴유가 1959년부터 1990년까지 집권하며 강력한 독재체제를 구축했다 2015년 91세로 ..

카테고리 없음 2023.10.2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이 장군)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이 장군) 이시애는 함경도 길주에서 태어나서 종3품 병마절제사와 정3품 판회령부사를 역임했다 세조의 단종 폐위와 함경도 차별에 반발하여 이시애 난을 일으켜서 함흥까지 함락했다 구성군 이준과 남이에게 진압되어 처형됐다 구성군 이준은 세종대왕의 손자이자 임영대군의 아들이다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이시애 난을 진압했다 27세에 병조판서, 28세에 영의정에 올랐다 예종이 즉위하자 영의정에서 물러났다 정인지가 역모죄로 모함하여 유배되어 39세에 사망했다 남이의 할아버지는 정2품 한성판윤 남휘이고 할머니는 이방원의 딸 정선공주이다 생부는 군수 남재이고 부인은 권람의 딸이다 18세에 무과에 급제했고 이시애 난을 진압하여 적개공신 2등으로 봉해졌다 25세에 공조판서, 28세에 병조판서에 올랐다..

카테고리 없음 2023.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