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 2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인좌의 난)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인좌의 난) 노론은 경종이 후가가 없다는 이유로 연잉군의 왕세제 책봉에 이어 경종의 건강을 이유로 왕세제의 대리청정을 요구했다 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 등 노론 4대신이 처형되는 신축옥사가 발생했다 소론의 김일경과 목호룡이 연잉군 등 노론 일파가 경종을 죽이려는 역모를 고변했다 경종은 연잉군을 제외한 관련자가 전원을 탄핵되는 임인옥사가 발생했다 노론이 축출된 신축옥사와 임인옥사를 신임사화(辛壬士禍)라고 한다 영조가 즉위하여 을사환국(乙巳換局)을 통해 소론을 축축하고 노론을 등용했다 정치보복으로 사회가 혼란하자 정미환국(丁未換局)을 통해 노론을 축출하고 소론을 등용하여 명목상의 탕평(蕩平)을 추진했다 영조는 자신의 왕위계승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임사화가 무교였다는 경신처..

카테고리 없음 2024.07.1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나의 삶 나의 인생 특집 5 / 공돌이가 되어 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나의 삶 나의 인생 특집 5 / 공돌이가 되어 1) 3학년 2학기부터 현장에서 실습을 할 수 있었다. 대학 진학도, 공무원 시험도 어려운 조건에서 여름방학 이전에 첫 번째로 취업을 하였다. 취업담당 선생님이 오전에는 머리가 길다고 트집을 잡더니, 오후에는 머리가 짧다고 트집을 잡았다. 솔담배 한 보루를 사주고 도장을 받아 지금은 사라진 테니스 라켓을 만드는 경기도 성남시 상대원의 한일라켓 품질관리과에 입사했다. 하루 일당 2,660원, 한 달 월급 8만 원에 12명이 한 방에 사는 기숙사에 들어갔다. 연차도 월차도 없던 시절에 기숙사비 2만 원과 제세금을 공제하면 5만 5천 원을 받았다. 기숙사에서는 생일, 제사, 입사, 퇴사 등을 명분으로 매주 5천 원을 각출하여 잔치만 하였다..

카테고리 없음 2024.07.1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나의 삶 나의 인생 특집 4 / 조국 근대화의 기수가 되어 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나의 삶 나의 인생 특집 4 / 조국 근대화의 기수가 되어 2) 조퇴는 실장이 먼저 승인하고 담임에게 사후 보고를 하여 결석을 없앴다. 무결석반이라는 특혜로 술도 마시고 담배도 피우는 특권을 받았다. 교련복을 입고 지산재나 4수원지로 행군을 갈 때도 물통에 소주를 담아가도 교련 선생마저 모른 척해줬다. 설악산으로 수학여행 갈 때는 나이트클럽 조명을 여관방 천장에 설치하고 담요로 문을 막고 불빛이 나가지 않도록 하고 고고 춤을 추며 놀기도 하였다. 1학년 때 교복이 자율화 되었고 2학년 때 머리와 신발이 자율화 되었다. 3학년 때 교복이 자율화 되었지만, 교련복은 없어지지 않았다. 대대장이 되어 월요일 아침 전교생 조회 시간에 긴 칼을 차고 분열과 사열을 하였다. 실장과 대대장 덕..

카테고리 없음 2024.07.1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나의 삶 나의 인생 특집 3 / 조국 근대화의 기수가 되어 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나의 삶 나의 인생 특집 3 / 조국 근대화의 기수가 되어 1) 전남기계공고와 광주상고는 85점 이상, 광주 인문계는 80점 이상, 전남공고, 숭의실고, 금파공고, 전일실고 등은 75점 이상, 동의실고, 한독공고, 담양공고 등은 70점 이상 돼야 진학할 수 있다. 박정희 정권의 공업화 정책으로 광주공고가 전남기계공고로 개칭되어 7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초반까지 최고의 명문고로 발전했다. 기계공고는 조국 근대화의 기수가 되어 자랑스럽게 학교에 다녔다. 전남기계공고는 1학년이 840명, 전교생이 2,500여 명인 대규모 학교였다. 더구나 기계과가 한 학년에 600명이나 되었다. 동복, 춘추복, 하복, 실습복, 교련복, 체육복을 입고 1주일에 10시간 이상을 실습실에서 보내야 하는 ..

카테고리 없음 2024.07.1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나의 삶 나의 인생 특집 2 / 광주에서 자취를 시작하여 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나의 삶 나의 인생 특집 2 / 광주에서 자취를 시작하여 2)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시작하는 자취생활은 너무나 황홀했다. 좁디 좁은 단칸방에 공동화장실을 사용했지만, 우물물 대신 수돗물을, 아궁이불 대신 연탄불을, 검은 보리밥에서 흰색 쌀밥으로 변모하는 자취생활이 너무 좋았다. 자취생활에서 가장 힘든 것은 연탄이 꺼지는 문제였다. 꺼지는 연탄보다 살리는 번개탄이 많이 들었다. 당시에는 가스렌즈 냉장고 세탁기 TV 등은 엄두도 내지 못할 아득한 시대였다. 할머니가 광주 자취방에 올라 오셔서 밥을 해주신 적이 있었다. 고향 집에 쌀을 가지러 내려 갔다가 쌀 한 가마니와 생닭을 붉은 모자기에 싸서 가지고 올라왔다. 할머니는 가져오라는 쌀은 안 가져오고 무슨 찹쌀하고 콩, 팥, 녹두, 참..

카테고리 없음 2024.07.1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나의 삶 나의 인생 특집 1 / 광주에서 자취를 시작하여 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나의 삶 나의 인생 특집 1 / 광주에서 자취를 시작하여 1) 어린 시절에 학파농장 나락을 옮기는 트럭 먼지가 진동하는 신작로의 벚꽃과 아카시꽃, 은적산과 대박산의 산벚꽃과 진달래꽃을 보고 자랐다. 말을 낳으면 제주로 보내고 사람을 낳으면 서울로 보내라고 하였다. 중학교 2학년 때 처음으로 서울을 다녀와서 시골을 벗어나 도시로 나가고 싶었다. 공부를 잘해서 광주로 유학을 하는 길이 유일한 방법이라 생각했다. 1980년 5월 어느 날 운동장 건너편에서 근무하던 물방위들이 운동장을 가로질러 시악바위 쪽으로 달려갔다. 학생들이 일어나서 함성을 지르자 선생님들이 달려와서 커튼을 치고 고개를 숙이고 조용히 하라고 명령했다. 잠시 후 선생님이 와서 가방을 싸서 집으로 가고 연락이 갈 때까지..

카테고리 없음 2024.07.1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진충의 난)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진충의 난) 이연(李淵)이 수나라 황제 양유(隋恭帝 楊侑)로부터 양위를 받아 당나라를 건국했다 거란족은 당나라가 건국되자 당태종에 입조했다 당태종은 거란족의 거주 지역에 송막도독부를 세우고 거란족 부족장에게 이씨 성을 하사하고 송막도독으로 임명했다 당나라의 사민정책(徙民政策)으로 영주(營州) 지역에는 고구려인을 비롯해 거란족 말갈족 등 이민족이 거주했다 당나라의 영주도독(營州都督) 조문홰(趙文翽)는 거란족을 노비처럼 무시하며 군량을 베풀지 않아 굶어죽이며 가혹하게 통치했다 사민정책은 당나라에서 고구려를 정복하고 요서 지역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기 위한 고구려 유민들과 거란족 말갈족 등을 영주(營州) 지역으로 강제로 이주해버리는 대규모 이민정책이다 이진충(李盡忠)은 거란족의 추장으..

카테고리 없음 2024.07.13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 사찰 특집 ④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해남 대흥사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 사찰 특집 ④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해남 대흥사 서일환 언론학박사·행복한요양병원 본부장 해남(海南)은 전남 서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해남반도·화원반도와 65개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남은 한반도에서 최남단에 위치하여 섬ㆍ바다ㆍ산악이 함께하며 서해안과 남해안의 다도해해상 국립공원이 한눈에 보이면 보길도, 백일도는 물론 날이 맑으면 한라산까지 보인다. 해남에는 명량대첩 기념관, 공룡화석산지, 윤선도의 녹우당, 대흥사, 미황사, 도솔암, 땅끝마을 등이 있다. 두륜산(頭輪山)은 전남 해남군 북평면ㆍ삼산면ㆍ북일면에 있는 명산으로 소백산맥의 최남단에 위치한다. 두륜산은 대둔사(大芚寺)가 있어 대둔산(大芚山)이라 불렀고 대흥사(大興寺)로 개칭되자 대흥산(大興山)으로 불렸다. 두륜산의 최고..

카테고리 없음 2024.07.1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제헌절특집 / 9 우리나라 대선)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제헌절특집 / 9 우리나라 대선) 1948년 초대 대선은 국회 간선제로 이승만이 당선됐고 1952년 2대 대선과 1956년 3대 대선은 국민 직선제로 이승만이 당선됐다 1960년 4대 대선은 3.15 부정선거로 촉발된 4.19 혁명으로 무효가 되었다 1960년 4대 대선은 국회 간선제로 윤보선이 당선됐고 1963년 5대 대선, 1967년 6대 대선, 1971년 7대 대선은 국민 직선제로 박정희가 당선됐다 1972년 8대 대선, 1978년 9대 대선은 통일주체 국민회의 간선제로 박정희가 당선됐다 1979년 10대 대선은 10.26 사태로 통일주체 국민회의 간선제로 최규하가 당선됐다 1980년 11대 대선은 12.12 반란과 5.17 내란으로 통일주체 국민회의 간선제로 전두환이 당선됐..

카테고리 없음 2024.07.1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제헌절특집 / 8 우리나라 개헌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제헌절특집 / 8 우리나라 개헌2) 박정희 소장은 5.16 군사정변을 일으키고 권력을 찬탈하고 4년 중임제 대통령제의 5차개헌을 단행했다 박정희는 제5대에 이어 제6대 대통령에 당선되어 제7대 대통령에 출마할 수 없게 되자 6차 삼선개헌을 강행하여 제7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박정희는 삼선개선을 통해 제7대 대선에 승리하고 영구집권을 위해 헌법정지와 국회해산을 통해 7차 유신개헌을 단행했다 박정희는 대통령 직선제를 통일주체 국민회의 선출의 간선제로 변경하여 제8대에 이어 제9대에 당선되어 영구집권을 하였다 박정희가 김재규에 의해 살해되자 유신헌법에 따라 최규하가 제10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12.12 반란과 5.17 쿠데타로 최규하를 몰아내고 권력을 탈취한 전두환이 제11대 대통령에 ..

카테고리 없음 202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