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 3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제헌절특집 / 1 제1공화국)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제헌절특집 / 1 제1공화국) 제1공화국은 1948년 2년 임기의 제헌의회에서 헌법을 제정하여 출범했다 1948년 대통령 이승만과 부통령 이시영을 제헌의회에서 간선제로 선출했다 1950년 제2대 총선에서 여소야대가 되어 이승만은 차기 대선에 당선이 불투명하게 되었다 이승만은 한국전쟁 중에 임시수도 부산에서 계엄령을 선포하고 부산정치파동을 자행하여 정부통령 직선제와 국회 양원제를 핵심으로 하는 발췌개헌을 강행했다 이승만은 1952년 제2대 대선에 출마하여 직선제로 당선됐다 이승만은 영구집권을 위해 라는 규정을 로 개정하여 사사오입으로 통과했다 1954년 제3대 대선에 자유당의 이승만 이기붕과 민주당의 신익희 장면이 정부통령선거에 출마했다 대통령에 자유당 이승만, 부통령에 장면이 당..

카테고리 없음 2024.06.3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지아 행진곡)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지아 행진곡) 조지아 행진곡(Marching Through Georgia)은 1865년 미국 남북전쟁 때 조지아 행진 당시 헨리 클레이 워크가 만든 행진곡이다 조지아 행진은 미국 북부군 윌리엄 테쿰세 셔먼 장군이 '대행진' 작전으로 남부 주요도시를 점령한 사건이다 좋은 옛 나팔을 꺼내게 친구들 다른 노래를 부르세 온 세상을 놀래킬 기세로 부르세 5만 장병들과 부르던 대로 부르세 우리가 조지아를 지나 행진하던 그 때에 조지아 행진곡은 러일전쟁 중 여순항에서 승리하며 일본군이 불렀고 호주군이 갈리폴리 전투에서 불렀고 영국군이 2차대전 당시 인도에서 불렀다 신흥무관학교 교가로 불리다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독립군가로 불렸다 서북으로 흑룡태원 남에영절에 여러만만 헌원자손 업어기르고 동해섬..

카테고리 없음 2024.06.29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사찰 특집 ③장성 백양사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사찰 특집 ③장성 백양사 서일환 언론학박사·행복한요양병원 본부장 백암산(白巖山)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과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에 걸쳐있는 산이다. 동쪽으로 추월산, 북쪽으로 내장산, 서쪽으로 방장산, 남쪽으로 병풍산과 연결됐다. 암석이 모두 흰색이라서 백암산이라 하며 최고봉은 상왕봉이고 서쪽의 가인봉(加仁峰), 북쪽의 백학봉(白鶴峰), 남쪽의 옥녀봉(玉女峰) 등 백양삼봉(白羊三峯)이 말발굽 형태를 이루고 있다. 백양사(白羊寺)는 전남 장성군 북하면 백암산(白巖山) 가인봉과 옥녀봉 사이의 계곡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다. 632년 백제 무왕 때 여환선사 창건하여 백암사라 하였다. 고려 덕종 때 중연선사가 보수하여 정토사(淨土寺)로 개칭했다. 조선 선조 때 ..

카테고리 없음 2024.06.2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북국시대특집 / 10 발해의 수도)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북국시대특집 / 10 발해의 수도) 대조영(大祚榮)은 걸걸중상(乞乞仲象)의 아들로 고구려가 멸망하자 당나라에 의해 영주(榮州)로 이주했다 당나라의 억압정책에 대한 반발하여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동모산에서 발해를 건국했다 동모산(東牟山)은 698년부터 742년까지 32년간 발해의 첫 번째 수도였다 동모산은 백두산에서 북쪽으로 300여 리 되는 지점에 위치하며 지린성(吉林省) 돈화시 서남쪽에 위치한 성산자산성(城山子山城)으로 비정한다 중경현덕부(中京顯德府)는 742년부터 756년까지 발해의 두 번째 수도였다 중경현덕부는 발해의 5경 중 하나이며 지린성(吉林省) 허룽시 서고성자(西古城子)로 비정한다 서고성자는 내성(內城)과 외성(外城)으로 구성됐고 벼가 특산물로 유명했다 상..

카테고리 없음 2024.06.2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북국시대특집 / 9 선왕과 대인선)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북국시대특집 / 9 선왕과 대인선) 4대 폐왕 대원의(大元義)는 대조영의 손자이자 무왕의 조카이며 문왕의 사촌동생이다 문왕의 태자 대굉림(大宏臨)이 요절하고 문왕이 사망하자 즉위했다 성질이 포악하여 신하들에게 살해됐다 5대 성왕(成王)은 문왕의 손자이자 태자 대굉림(大宏臨)의 아들로 4대 폐왕 대원위가 살해되자 즉위하자마자 병을 얻자 삼촌 대승린이 대리청정했고 성왕이 6개월 만에 사망하자 대승린이 강왕으로 즉위했다 6대 강왕(康王)은 문왕의 아들이자 성왕의 삼촌으로 15년간 재위했다 7대 정왕(定王)은 강왕의 아들로 3년 만에 병사했고 8대 희왕(僖王)은 강왕의 아들로 5년 만에 사망했고 9대 간왕(簡王)은 강왕의 아들로 1년 만에 사망했다 10대 선왕(宣王)은 대조영(大祚榮)..

카테고리 없음 2024.06.2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북국시대특집 / 8 무왕과 문왕)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북국시대특집 / 8 무왕과 문왕) 대조영은 대무예를 비롯해 대창발가 대림 대호아 대낭아 대술예 대보방 등을 낳았다 대무예(大武藝)는 대조영의 장남으로 대조영이 사망하자 2대 무왕(武王)으로 즉위하여 연호를 인안(仁安)이라 하였다 대문예(大門藝)는 대조영의 차남으로 대조영이 즉위하자 당나라에 숙위(宿衛)로 파견되어 정세를 파악했다 대창발가(大昌勃價) 대림(大琳) 대호아(大胡雅) 대낭아(大郎雅) 대보방(大寶方) 등은 형 무왕이 즉위하자 당나라에 숙위(宿衛)로서 파견됐다 당현종은 발해의 후방에 위치한 흑수말갈을 직접 통치하며 양면에서 위협했다 무왕은 대문예(大門藝)를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흑수말갈을 공격을 명령했다 대문예는 흑수말갈을 치는 것을 당나라를 치는 것과도 같다며 당나라에 투..

카테고리 없음 2024.06.2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북국시대특집 / 7 창업군주 대조영)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북국시대특집 / 7 창업군주 대조영) 발해(渤海)는 당나라가 연남생을 앞세워 고구려를 정복한 지 30년 만에 대조영이 고구려를 계승하여 건국한 고대국가다 발해는 신라와 함께 200여 년간 이른바 ‘남북국시대’를 이끌었고 고려(高麗)를 자칭했다 당나라는 668년 고구려를 정복하고 고구려 유민 분산책의 일환으로 랴오닝성 영주(營州)로 끌려갔다 695년 억압 정책에 반발하여 거란족 이진충이 영주 도독 조문홰(趙文翽)를 살해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걸걸중상(乞乞仲象)은 아들 대조영과 함께 고구려 유민을 이끌고 영주를 탈출했다 걸걸중상은 고구려의 장수이자 말갈족 지도자 걸사비우와 동맹을 맺고 고구려 부흥운동을 이끌었다 측천무후가 진국공(震國公)에 봉작하자 거부했다 걸걸중상과 걸사비우는 영주..

카테고리 없음 2024.06.2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북국시대특집 / 6 해동성국 발해)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남북국시대특집 / 6 해동성국 발해) 당나라는 고구려의 땅을 차지하기 위해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하고 대동강 이북과 요동 지방을 통치했다 고구려 유민이 저항하자 당나라는 강제로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 거란인 등을 랴오닝성 차오양 영주(榮州)로 강제 이주했다 영주도독(營州都督) 조문홰(趙文翽)가 폭정을 일삼자 거란족 추장 이진충과 손만영이 봉기하자 고구려 유민 걸걸중상(乞乞仲象)과 대조영 부자가 고구려 유민을 이끌고 말갈인과 함께 영주를 탈출하여 만주 동부 지역으로 이동했다 당나라 측천무후가 거란족 이진충의 아들 이해고(李楷固)를 대장군으로 임명하여 대조영을 추격했다 대조영은 내몽골자치구 천문령에서 매복하여 당나라 20만 대군을 격파했다 대조영의 아버지 걸걸중상과 말갈..

카테고리 없음 2024.06.23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카츄사)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카츄사) 카츄사(Катюша)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여신 헤카테(Hekate)에서 유래한 러시아의 여자 이름이다 영어의 캐서린(Catherine) 라틴어로 카타리나(Catarina) 프랑스어로 카트린(Catherine) 러시아어로 예카테리나(Екатерина) 등으로 사용된다 예카테리나 1세는 제정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의 제2대 황제이자 표트르 1세의 두 번째 부인으로 여제가 되었으나 2년 만에 사망했다 표트르 1세는 군주 칭호를 차르에서 임페라토르로 개칭하며 러시아 제국이 출범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제정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의 제8대 황제로 무능한 남편 표트르 3세를 대신하여 섭정하다가 남편을 축출하고 여제가 되었다 남성 편력으로 수많은 남자 후궁을 두었고 영토 확장 정책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24.06.2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해병대)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해병대) 대한민국 국군조직법에는 ‘국군은 육군, 해군 및 공군으로 조직하며, 해군에 해병대를 둔다’라고 명시했다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을 표어로 해군 소속으로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며 수장은 해병대사령관이다 해병대는 해군총사령관 손원일 제독이 해병대 창설을 지시하여 1949년 4월 15일 창설됐고 신현준 중령이 초대 해병대 사령관으로 임명됐다 제주 4.3 사건을 진압했고 인천상륙작전 서울수복작전 5.16 군사정변에 가담했다 해병대는 1973년 박정희의 지시로 해체됐고 1987년 전두환의 지시로 재창설됐다 2023년 7월 19일 한반도 폭우 사태 당시 실종자 수색 작전 중 채 상병이 실종됐다 대통령 등 상부 수사 외압 논란으로 특검을 추진했으나 대통령이 거부했다 신현준(申..

카테고리 없음 2024.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