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 3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메소포타미아 특집 / 2 바빌로니아제국)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메소포타미아 특집 / 2 바빌로니아제국) 바빌로니아는 기원전 4000년 경부터 발달한 문화를 총칭하며 수메르와 아카드는 메소포타미아 패권을 놓고 끊임없이 대립하며 격돌했다 기원전 19세기에 셈족 계통의 민족인 아카드인들이 바빌로니아를 건설하여 발전했다 수메르인은 메소포타미아 지역 남쪽의 비옥해진 땅을 경작하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메소포타미아문명을 창조했다 인류 최초의 문자인 설형문자를 만들었다 아카드인에게 복속됐으나 우르제3왕조를 개창하여 독립했고 아모르인에게 다시 복속됐다 아카드인은 메소포타미아 지역 북쪽에서 농업과 상업을 기반으로 발전했다 아카드인은 인류 최초의 제국인 아카드제국 건설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처음으로 통일했다 아카드제국은 이란고원에서 넘어온 구티족의 침략으로..

카테고리 없음 2023.11.2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메소포타미아 특집 / 1 고대 메소포타미아)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메소포타미아 특집 / 1 고대 메소포타미아) 메소포타미아는 '두 강 사이에 있는 도시'라는 뜻이며 구릉지대인 북쪽을 상부 메소포타미아 라고 하며 바빌로니아가 활동했고, 평원지대인 남쪽을 하부 메소포타미아 라고 하며 윗쪽은 아카드, 아래쪽은 수메르가 활동했다 수메르인은 비옥한 초승달 지대인 메소포타미아 하류 지역에 정착하여 농사를 시작했다 도시국가를 형성하여 인류 최초로 문명을 만들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수메르인이 만든 문명이라 메소포타미아문명을 수메르문명이라 한다 수메르인은 설형문자를 만들어 역사를 기록했고 바퀴를 고안하여 운송수단의 혁신을 가져왔다 진흙을 불에 구워 벽돌을 만들어 집을 지었다 구리와 주석을 합금하여 청동을 만들어 생산력을 증대했다 가마를 만들어 세계 최초로 ..

카테고리 없음 2023.11.1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부여)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부여) 부여(夫餘)는 예맥족과 읍루족이 고조선 후기부터 삼국시대 중반까지 송화강과 눈강이 만나는 만주 길림성의 송눈평야 일대에 존속했던 고대국가이다 부여는 위만조선 한나라 등과 비슷한 시기에 발흥했다 부여의 시조인 동명왕과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성왕의 설화는 매우 흡사하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북부여 동부여 남부여 홀본부여 갈사부여 등 여러 부족 국가가 존재했다고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부여라고 하면 북부여를 지칭한다 부여는 가축의 이름을 딴 부족장인 마가(馬加) 우가(牛加) 저가(猪加) 구가(狗加) 등 깨의 가(加)가 사출도(四出道)를 다스렸다 형법(刑法)은 아주 준엄하여 살인 간음 등은 극형에 처했다 부여에서는 공동체의 집단적인 농경의례의 하나로서 풍성한 추수감사제 성격을 지니는 ..

카테고리 없음 2023.11.18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 국립공원 특집⑤ 산·바다 어우러진 변산반도국립공원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 국립공원 특집⑤ 산·바다 어우러진 변산반도국립공원 서일환 언론학박사·행복한요양병원 본부장 변산반도(邊山半島)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일대에 있는 반도이다. 변산반도는 1971년 변산반도 일대가 도립공원으로 지정됐고 1988년 19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됐다. 바닷가는 외변산, 산악지역은 내변산이라 하며 우리나라 유일의 반도형 국립공원이며 국립공원 중에서 처음으로 육상과 해상이 함께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변산은 홍길동전(洪吉童傳)의 저자인 허균(許筠)과 반계수록(磻溪隧錄)의 저자인 유형원(柳馨遠)의 숨결이 살아 있는 곳이다. "변산에는 많은 봉우리와 골짜기가 있다. 변산의 바깥은 소금 굽고 고기잡는 데 알맞고 산중에는 기름진 밭이 많아 농사를 짓기에 알맞다. 주민들이 산에 오르..

카테고리 없음 2023.11.1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버림받은 독립운동가 특집 / 10 독립운동가 박상희)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버림받은 독립운동가 특집 / 10 독립운동가 박상희) 박상희(朴相熙)는 1905년 경북 칠곡군 약목면에서 아버지 박성빈, 어머니 백남의 상이에서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1914년 가족들은 선산군 구미면 상모리로 이사했다 구미보통학교 졸업했고 대구사범고등학교에 낙방했다 박성빈은 몰락 양반가 출신으로 정9품 효력부위(効力副尉)를 지냈고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하여 처형 직전에 사면됐다 백남의는 남편의 경제적 무능력으로 가족의 생계를 이끌었다 박성빈과 백남의는 박상희와 박정희의 부모이다 박상희는 선산청년동맹의 준비위원 상무위원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이 결집해 결성한 신간회(新幹會) 간부로 항일활동에 앞장섰다 항일민족지 조선중앙일보의 대구지국장과 동아일보의 구미지국장..

카테고리 없음 2023.11.1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버림받은 독립운동가 특집 / 9 아나키스트 박열)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버림받은 독립운동가 특집 / 9 아나키스트 박열) 박열(朴烈)은 경상북도 문경에서 박영수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함창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상경하여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다니다가 3.1운동에 가담하여 퇴학을 당했다 박열은 일본 도쿄로 건너가서 세이소쿠가쿠엔 고등학교에서 수학했다 사회주의자와 아나키스트들과 교류하며 아나키즘단체인 흑도회(黑濤會)에서 활동했다 또한 비밀결사조직인 의열단에 가입하고 비빌결사조직인 불령사(不逞社)를 조직했다 박열은 관동대지진이 일어나자 보호 검속이라는 명목으로 체포됐다 '일본인 부인인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와 함께 히로히토 황태자의 혼례식을 기하여 다이쇼 천황과 히로히토 황태자 등을 폭탄으로 암살하기로 모의했다' 라는 이유로 구속됐다 박열과 가네코 ..

카테고리 없음 2023.11.1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버림받은 독립운동가 특집 / 8 육삼정 의가 백정기)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버림받은 독립운동가 특집 / 8 육삼정 의가 백정기) 백정기(白貞基)는 전북 부안에서 장남으로 출생해서 7세에 정읍으로 이사하여 한학을 배웠다 19세아 서울로 상경하여 했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선언문과 전단을 가지고 고향에 내려가 항일운동을 이끌었다 백정기는 1919년 8월 일본인 및 일본 군사시설에 대한 공격게획이 발각되자 중국으로 망명했다 1924년 일본에 침투해 다이쇼 텐노 암살과 하야카와 수력발전소 공사장 파괴를 시도하다가 실패하고 베이징으로 돌아갔다 백정기는 1924년 상하이에서 이회영 유자명 등과 함께 재중국 무정부주의자 연맹을 결성하여 활동했다 1932년 상하이에서 흑색공포단(BTP)을 조직하여 민족주의와 공산주의가 아닌 아나키스트의 입장에서 독립투..

카테고리 없음 2023.11.1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버림받은 독립운동가 특집 / 7 아나키스트 이회영)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버림받은 독립운동가 특집 / 7 아나키스트 이회영) 이회영(李會榮)은 이항복의 후손으로 한성부의 저동(苧洞)에서 이조판서를 지낸 이유승과 동래정씨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유승은 첫째 이건영 둘째 이석영 셋째 이철영 넷째 이희영 다섯째 이시영 등을 낳았다 이회영은 한학을 배웠으나 감리교로 개종하고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에 참여했다 노비해방과 적서타파 여성의 부당한 인습반대, 개가와 재혼을 허용 등을 주장했다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나인영 기산도 등과 함께 을사오적 암살을 모의하다 실패했다 이회영은 만주에 서전서숙을 세우고 무력항쟁 기지를 설립할 구상했다 안창호 신채호 등과 비밀결사조직인 신민회(新民會)를 결성했다 경술국치를 당하자 국내에 있던 재산은 처분하고 60명에 달하는 대가족을 ..

카테고리 없음 2023.11.13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버림받은 독립운동가 특집 / 6 임시정부 국무총리 이동휘)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버림받은 독립운동가 특집 / 6 임시정부 국무총리 이동휘) 이동휘(李東輝)는 함경북도 단천에서 아전 이승교의 아들로 태어났다 군수의 시중을 드는 통인으로 있다가 보성전문학교의 설립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용익의 추천으로 한성무관학교(漢城武官學校)에서 수학한 뒤 육군 참령을 역임했다 이동휘는 안창호 등과 비밀결사 조직인 신민회를 조직하여 항일운동을 하였다 105인 사건으로 투옥되어 석방되자 보창학교를 건립하고 대한자강회를 결성하는 등 애국계몽 운동에 노력했다 대한제국 군대해산 당시 의병을 일으키다가 체포되어 유배됐다 이동휘는 유배지에서 탈출하여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권업회(勸業會)에 가담하여 독립전쟁을 계획했다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자 조선인으로 두 번째로 볼셰비키에 가담했다 독일의..

카테고리 없음 2023.11.1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풍태후)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풍태후) 탁발규가 선비족을 규합하여 북위를 건국하여 초대 도무제로 즉위하여 반항하는 한족들은 죽이거나 노예로 삼았고 투항하며 등용했다 도무제는 동생 탁발의에게 양위하고 아들 탁발소에게 살해됐다 도무제의 아들 탁발사가 이복동생 탁발소를 토벌하고 2대 명원제로 즉위하여 전쟁 중에 사망했다 3대 태무제가 강북을 정복하고 한화정책을 추진하다가 환관에게 독살됐다 5대 문성제가 4대 남안온왕과 비정통황제를 이어 새로운 황제로 즉위했다 풍씨의 조부 풍홍은 북연의 마지막 황제였고 부친 풍랑이 북위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자 노비로 전락했다 궁녀로 입궁하여 5대 문성제의 총애를 받아 14세에 문성문명황후(文成文明皇后)로 책봉됐고 풍태후(馮太后)라고 부른다 풍태후는 탁발준 문성제의 황비이자 탁..

카테고리 없음 2023.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