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 2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9 최익현과 덕혜옹주)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9 최익현과 덕혜옹주) 최익현(崔益鉉)은 경기도 포천에서 태어나서 이항로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과거에 급제하여 동부승지 참의 현감 참판·관찰사 등을 역임했고 흥선대원군의 월권행위를 비판하며 위정척사파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최익현은 강화도 조약에 체결되자 광화문에 도끼를 메고 개항 불가를 주장하는 병자척화소(丙子斥和疏)를 올렸다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의병을 모집하여 임병찬과 더불어 전라도에서 거병했다 관군에 체포되어 대마도로 유배됐다 최익현은 대마도주의 단발 요구에 항의하며 단식을 시작했고 대마도주가 사과하자 단식을 중단했다 단식 후유증으로 유배 3개월 만에 74세의 나이로 대마도에서 사망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됐다 “신의 나이 75살이오니 죽어도 무엇..

카테고리 없음 2023.12.2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7 조선통신사)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7 조선통신사)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정명가도(征明假道)를 명분으로 임진왜란을 일으켰다 대마도 도주(島主) 소 요시토시(宗義智)의 장인인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왜군의 선봉장이 되어 조선에 최초로 상륙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사망하자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하고 에도 바쿠후(江戸幕府)를 개창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대마도 도주(島主) 소 요시토시(宗義智)에게 조선과 강화교섭을 명령했다 조선의 선조는 일본의 바쿠후의 사정을 파악하기 위해 일본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임진왜란 중 조선왕릉 도굴범과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인 포로석방 그리고 공식으로 사과하는 국서를 먼저 보낼 것을 요청했다 대마도주 소 요시토시는 에도 ..

카테고리 없음 2023.12.1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7 소 요시토시)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7 소 요시토시) 소 요시토시(宗義智)는 소 가문 제20대 당주이며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사위이자 쓰시마섬의 기리시탄 다이묘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명나라 정복을 위해 조선침략을 준비했다 소 요시토시는 조선에 통신사로 파견을 요청했다 조선 선조는 서인인 정사 황윤길과 도인인 부사 김성일을 일본에 파견하여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조선을 침략할 뜻이 있는지 정세를 파악했다 황윤길은 일본이 반드시 침략할 것이라 보고했고 김성일은 침략할 만한 움직임이 없다고 보고했다 소 요시토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조선통신사가 전국 통일에 대한 축하 사절로 방문했다‘ 라고 거짓으로 보고했다 다시 조선통신사에게 ‘명나라에 조공을 하고 싶으니 조선이 명나라로 가는 길을 빌려달라’..

카테고리 없음 2023.12.1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6 삼포왜란)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6 삼포왜란) 조선 제4대 세종은 이종무를 앞세워 3차 대마도 정벌을 단하하고 조선과 대마도주(對馬島主) 소 사다모리(宗貞盛) 사이에 계해약조(癸亥約條)를 체결했다 조선은 부산포(부산) 제포(진해) 염포(울산) 세 곳을 개항하여 일본인에게 교역을 허락했다 중종은 왜관에서 범죄를 일삼던 강경책을 펼쳤다 조선인 관리들의 횡포를 문제 삼고 3포에 거주하던 왜인들과 대마도주가 합세하여 삼포왜란(三浦倭亂)을 일으켜서 272명 조선의 군사와 백성을 살해하고 796호 민가를 불살랐다 조선은 군사를 파견하여 삼포의 왜구를 토벌하고 왜관을 폐쇄했다 삼포왜란 이후 조선은 대마도와 임신약조(壬申約條)를 체결하여 삼포 중 제포(薺浦)만 개방하고 부산포와 염포에 왜인의 거주를 불허했다 ..

카테고리 없음 2023.12.1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밀풍군과 이인좌의 난)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밀풍군과 이인좌의 난) 밀풍군 이탄(密豊君 李坦)은 인조의 고손자로 소현세자의 증손자이자 경안군 이석견의 손자이며 임창군 이혼의 아들이다 인조의 아들 소현세자와 며느리 민회빈은 병자호란 당시 인질로 청나라에 끌려갔다 돌아와서 살해됐다 증조부인 소현세자는 인조에게 죽임을 당했고 조부인 경안군 이석견은 어린 나이로 제주로 유배되어 풀려났다 생부인 임창군 이혼은 사은사로 청나라를 다녀왔고 역모에 휘말려서 제주로 유배되어 풀려났다 밀풍군 이탄은 사은사와 동지사로 청나라 옹정제를 배알하며 대청외교를 담당했다 영조에 불만으로 일어난 이인좌에 의해 조선왕으로 추대됐고 반란이 평정되자 반역 괴수로 자결을 명 받아 32세에 사사됐다 영조는 노론의 지원을 받아 즉위하여 당쟁의 폐해를 제거하려는 탕..

카테고리 없음 2023.12.16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 국립공원 특집⑦ 빛고을 무등산국립공원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 국립공원 특집⑦ 빛고을 무등산국립공원 서일환 언론학박사·행복한요양병원 본부장 무등산(無等山)은 광주광역시 북구 석곡동과 동구 학운동,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과 이서면, 담양군 가사문학면에 걸쳐 있는 진산(鎭山)이다. 무등산은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됐다가 2013년 21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무등산은 1,187m의 ‘천왕봉’, 1,120m ‘지왕봉’, 1,140m ‘인왕봉’을 비롯해 광주천이 시작되는 ‘장불재’, 임금의 옥새를 닮은 ‘새인봉’, 화순 8경 중 하나인 ‘규봉암’ 등이 있다. 무등산은 1966년 공군 방공포대가 주둔한 지 57년 만인 2023년 9월 23일 인왕봉이 상시 개방됐고 천왕봉과 지왕봉도 2025년에 개방될 예정이다. 광주 도심에서 원효사를 거쳐..

카테고리 없음 2023.12.1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4 대마도정벌)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4 대마도정벌) 대마도는 본래 신라의 통제를 받았으나 왜인들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가마쿠라 바쿠후(鎌倉幕府) 시대에 후쿠오카(福岡) 출신의 소 나오시게(宗尙重)가 대마도를 점령하고 도주(島主)가 되어 대대로 대마도를 관리했다 대마도는 농지가 부족하고 농토가 척박하여 농사에 적합하지 않아 기근이 심했다 일본의 내환으로 교역이 힘들어지자 몰락한 무사들을 중심으로 대마도(對馬) 이키섬(壹岐) 등을 근거지로 왜구가 되어 약탈을 감행했다 여몽연합군이 일본원정으로 여말선초 약 70년간 우리나라 연안 각지에 침입하여 약탈을 자행했다 고려 제32대 우왕 재위 14년 동안 378회나 왜구가 고려를 약탈하자 정지 장군이 왜구를 소탕하고 대마도 정벌(對馬島 征伐)을 건의했다 고려와 조..

카테고리 없음 2023.12.13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3 와타즈미신사)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3 와타즈미신사) 일본신화(日本神話)는 야마토 민족에 의해 구전으로 전승된 신화를 총칭하는 말이다 천지개벽(天地開闢) 당시 하늘의 세 신이 출현하여 일곱 세대에 걸쳐 마지막으로 최초의 남자인 이자나기와 최초의 여자인 이자나미는 낳았다 오빠 이자나기와 여동생 이자나미는 결혼하여 불의 신을 낳다가 불에 타 죽었다 홀로 남은 이자나기는 왼쪽 눈에서 태양의 여신 아마테라스를 낳았고 오른쪽 눈에서 달의 신 츠쿠요미노 미코토를 낳았고 코에서 해신 스사노오노 미코토를 낳았다 아마테라스는 손자 니니기를 지상으로 보내면서 팔척경곡옥(八尺瓊曲玉), 팔지경(八咫鏡), 초치검(草薙劍) 등 3개의 선물을 같이 들려 보냈다 일본은 옥 경 검 세 가지를 삼종신기(三種神器) 라고 하며 텐노만..

카테고리 없음 2023.12.1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2 쓰시마)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2 쓰시마) 쓰시마섬(對馬島)은 한반도와 일본 사이에 있는 섬으로 예부터 대륙과 열도를 오가는 창구역할을 하였다 제주도의 1/3 크기이며 인구는 3만 명이다 우니섬(海栗島) 도마리지마섬(泊島) 등 5개의 유인도와 102개의 무인도가 있다 한반도와 쓰시마섬 사이를 대한해협(大韓海峽)이라 하며 한반도와 거리는 49.5km이다 쓰시마섬과 규슈 사이를 현해탄(玄界灘)이라 하며 규슈와 거리는 132km이다 농경지는 3.3%이며 대부분이 산지이다 쓰시마섬은 본래 1개의 섬이나 1672년 오후나고시세토(大船越瀬戸)가 1900년 만제키세토(万関瀬戸)가 개통되어 남북으로 3개의 섬으로 분리됐다 만제키세토 북부를 가미시마(上島)로 남부를 시모시마로(下島)로 불린다 1968년 쓰시마..

카테고리 없음 2023.12.1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1 나가사키현)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마도 특집 / 1 나가사키현) 일본은 혼슈(本州) 홋카이도(北海島) 규슈(九州) 시코쿠(四國) 등 네 개의 큰 섬으로 구성됐다 다음으로 오키나와현의 오키나와섬(沖縄本島) 니카타현의 사도가섬(佐渡島) 가고시마현의 아마미오섬(奄美大島) 나가사키현의 쓰시마섬(大馬島) 순으로 크다 혼슈는 일본 영토의 60%를 차지하며 세계에서 7번째로 큰 섬이다 홋카이도는 남한보다 조금 작은 섬으로 4개의 주요 섬 중 가장 북쪽에 있는 섬이다 시코쿠는 4개의 주요 섬 중 가장 작은 섬이다 규슈는 일본 열도를 구성하는 4개의 주요 섬 중 세 번째로 큰 섬이다 서남쪽에 있는 섬이며 세계에서 36번째로 큰 섬이다 옛날 9개의 율령국이 있어 규슈라고 한다 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 오이타현 미야..

카테고리 없음 2023.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