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 3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인류의 역사 특집 / 2 구석기시대)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인류의 역사 특집 / 2 구석기시대) 석기시대(石器時代)는 인류의 조상인 원인이 돌로 만든 도구를 쓰기 시작한 시대를 일컫는다 석기시대는 호모 하빌리스나 호모 에렉투스가 살던 전기 구석기시대,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중기 구석기시대, 인류문명이 발생한 후기 구석기시대로 구분한다 구석기시대(舊石器時代)는 대략 250만 년 전부터 시작되어 1만 년 전까지 시기이다 인간이 살았던 시기의 99%를 차지하는 시기이며 선사시대의 처음을 장식했다 아프리카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가장 먼저 구석기를 사용했다 구석기시대에 사용된 뗀석기는 돌을 깨뜨려 떼어진 파편으로 만들어진 석기라는 뜻으로 타제석기(打製石器)라고 한다 뗀석기와 더불어 뼈 뿔 상아 등 단단한 물질도 사용했다 해안가에서는 조개껍데기를 도..

카테고리 없음 2024.06.1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인류의 역사 특집 / 1 선사시대)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인류의 역사 특집 / 1 선사시대) 선사시대(先史時代)는 지구가 생명이 시작되었을 때부터 인류가 문자를 발명하여 역사를 기록하기 이전까지 시대를 말한다 선사시대는 석기시대 - 청동기시대 - 철기시대 3단계로 구분한다 유목민계 정착민계 수렵채집민계 종족이 있었다 역사시대(歷史時代)는 문자로 기록되어 문헌상으로 내용을 알 수 있는 시대를 말한다 문자(文字)는 언어를 기록하기 위한 상징체계로 청동기시대 후반부터 철기시대 전반에 등장했다 하지만 문자가 없어도 천문학 건축술 등 발달한 사례도 있었다 석기시대(石器時代)는 빙하기 초중기에 돌을 깨서 만든 뗀석기를 사용한 구석기시대, 빙하기 말기에 잔석기로 만든 뗀석기를 사용한 중석기시대, 기후 온난기로 불리는 현세(現世)에 돌을 갈아 만든 ..

카테고리 없음 2024.06.0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십상시)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십상시) 십상시(十常侍)는 한한 말기 12대 영제(靈帝) 때 정권을 장악하고 매관매직을 일삼으며 국정을 농락하던 10명의 환관을 말한다 영제는 13세에 황제가 되자 외척 두씨(竇氏)가 대장군으로 임명되어 환관들을 숙청했다 황제의 친위세력인 환관들이 외척세력을 몰아내고 황제의 총애와 신임을 기반으로 권력을 독점했다 영제는 주색에 빠져 정치를 포기하고 권력을 장악한 십상시의 우두머리인 장양(張讓)을 아버지로 섬겼다 후한의 관리들은 돈을 주고 관직을 구매하고 본전을 뽑기 위해 백성들에게 무거운 세금을 징수했다 태평교의 교주 정각(張角)이 노란색 두건을 쓰고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다 중앙정부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상실되고 지방호족이 군벌로 발전했다 하진(何進)은 백정 출신으로 십상시에 ..

카테고리 없음 2024.06.0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당태종과 위징)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당태종과 위징) 당태종 이세민에게 위징이 전했던 말이다 진왕 이세민은 현무문의 변으로 태자 이건성과 제왕 이원길 형제를 살륙하고 아버지 당고조 이연을 몰아내고 28세의 나이에 태종(太宗)으로 즉위하여 정관지치(貞觀之治)의 태평성대를 이룩했다 위징은 태자 이건성의 측근으로 황자 이세민의 제거를 조언했다 이건성은 위징의 조언을 거부하고 현무문의 변으로 살해됐다 이세민은 위징을 용서하고 중용했고 위증은 이세민에게 충성했다 당태종은 위징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원리를 묻자 "임금은 배와 같고 백성은 물과 같다. 물은 배를 뜨게 해주지만 반대로 전복시킬 수도 있다"라고 대답했다 물은 백성이고 배는 군주를 뜻한다 정관정요(貞觀政要)는 이세민이 23년 치세 동안 위징을 비롯한 신하들과 나눈 대화..

카테고리 없음 2024.06.0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군정관청 특집 / 10 소련의 민정청)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군정관청 특집 / 10 소련의 민정청) 일본제국은 독소전쟁에서 승리한 소련과 충돌을 피하고 싶었고 소련은 나치독일과 전쟁으로 일본과 충돌을 피하고 싶었다 일본과 소련은 양국의 이해가 맞아 1941년 4월 13일 소련-일본 불가침 조약을 체결했다 일본이 1941년 12월 7일 태평양전쟁을 일으키자 미국은 소련에 참전을 요청했다 소련은 독일이 항복하자 소련-일본 불가침 조약을 파기하고 1945년 8월 8일 일본제국에 선전포고하고 만주 전략공세작전을 펼쳤다 소련은 괴뢰만주국과 몽강국을 공격하여 관동군을 무장해제 시키고 일본의 점령지인 한반도 사할린 쿠릴열도를 공격하여 괴멸적인 타격을 가했다 일본은 1945년 8월 15일 소련의 만주 침공과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로 무조건 항복했다 일본의..

카테고리 없음 2024.06.0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군정관청 특집 / 9 미국의 군정청)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군정관청 특집 / 9 미국의 군정청) 1941년 12월 7일 일본제국은 하와이 진주만에 있는 미해군 태평양함대 기지를 기습 공격하고 동남아시아와 남태평양 일대를 장악했다 미국과 영국이 일본측에 선전포고를 하여 태평양전쟁이 일어났다 1944년 미국은 소련에 참전을 요청했다 1945년 7월 26일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영국 총리 클레멘트 애틀리, 중화민국 주석 장제스가 독일 포츠담에서 포츠담회담 중에 일본제국의 무조건 항복을 촉구하는 포츠담 선언을 발표했다 일본은 포츠담 선언을 거부했다 1945년 8월 6일 미국이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을 투하했고 8월 8일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하고 만주를 공격했고 8월 9일 미국이 다시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했다 8월 14일 일본제국이..

카테고리 없음 2024.06.0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군정관청 특집 / 8 일본의 조선총독부)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군정관청 특집 / 8 일본의 조선총독부) 총리 이완용(李完用)과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가 한일병합조약 전문의 일부이다 1910년 8월 29일 조선총독부(朝鮮総督府) 초대 총독으로 육군대장 겸 3대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취임했다 조선총독은 일본 텐노의 직속되어 일본제국 내각의 통제를 받지 않고 한반도 내에서 군수권 행정권 사법권 등에 특별권한을 가졌다 초대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内正毅)는 제3대 한국통감이자 초대 조선총독으로 헌병 경찰 제도를 창시하여 조선의 치안을 유지했고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식민 통치를 강화했다 총독을 사임하고 일본제국 제18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했다 제3대 및 제5대 총독 사이토 마코토(齋藤實)는 3·1운동을 잔인하게 진압하고 무단정치를 문화정..

카테고리 없음 2024.06.0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군정관청 특집 / 7 일본의 한국통감부)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군정관청 특집 / 7 일본의 한국통감부) 1905년 일본은 을사늑약이 체결하고 한국통감부(韓国統監府)를 설치하고 주한일본공사관를 폐지했다 한국통감부는 대한제국을 보호국으로 삼아 자문 또는 섭정을 형식으로 하고 정치 및 행정을 직접 통치하기 위한 관청이다 한국통감부는 1명의 통감을 두고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지휘 감독하게 하였다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는 조선 주둔군 사령관으로 초대 한국통감으로 부임하기 전까지 통감직을 대리했고 제2대 조선총독으로 3.1운동을 강경하게 진압했다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는 러일전쟁에 승리하고 을사늑약을 체결했다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을 빌미로 고종을 강제로 퇴위하자 순종을 즉위했다 대한제국의 강제합병을 결정하고 한국통감직을 사임하..

카테고리 없음 2024.06.03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군정관청 특집 / 6 일본의 주한일본공사관)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군정관청 특집 / 6 일본의 주한일본공사관) 미국의 페리 제독이 4척의 군함들을 몰고 와서 일본의 개항을 요구하자 에도 바쿠후는 쇄국정책을 포기하고 개항했다 일본이 열강과 조인한 불평등조약인 1854년 미일화친조약을 체결했고 1858년 미일수호통상조약을 체결했다 1861년 미국은 남북전쟁이 일어나서 1865년 북부군이 승리하여 미국연방이 유지되고 노예제가 폐지됐다 1867년 일본은 존왕양이(尊王攘夷)를 내세운 초슈번과 사츠마번을 중심으로 하는 메이지유신으로 대정봉환을 이룩했다 1876년 조선과 일본은 강화도조약을 체결했다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또는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이라 부른다 조선이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자 불평등 조약이다 일본은 조선에 주한일본공사관을 ..

카테고리 없음 2024.06.0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방원)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방원) 태조 이성계는 6명의 부인으로부터 8남 5녀를 낳았다 신의왕후 한씨가 1왕자 진안대군, 2왕자 영안대군 정종, 5왕자 정안대군 태종 등을 낳았다 신덕왕후 강씨가 7왕자 무안대군, 8왕자 의안대군 등을 낳았다 태조의 적장자인 1왕자 진안대군은 생부 이성계가 권력을 장악하자 철원으로 낙향하여 은거하다가 조선건국 다음 해에 40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태조의 8왕자 의안대군은 조선 최초의 왕세자로 책봉되어 1차 왕자의 난으로 17세에 암살됐다 태조의 2왕자 영안대군은 생부 이성계를 도와 왜구를 물리쳤고 조선건국에 공헌했다 1차 왕자의 난으로 왕세자로 책봉됐고 2차 왕자의 난으로 태조의 양위를 받아 2대 정종으로 즉위했다 다음 해 동생 이방원에게 양위하고 사망하여 개성에 묻혔다 이..

카테고리 없음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