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 2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북한여행 특집 / 5 구월산)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북한여행 특집 / 5 구월산) 구월산(九月山)은 황해남도 은율군 삼천군 안악군 은천군에 걸쳐 있는 산이다 풍화작용으로 기암절벽이 발달했고 계곡이 많아 산악경관이 빼어난다 구월산은 백두산 묘향산 금강산 지리산과 함께 우리나라 5대 명산의 하나이다 황해남도는 북한에서 1954년 황해도를 남도와 북도로 양분하여 만든 행정구역이며 도청 소재지는 해주시이다 한국전쟁 당시 황해남도 신천군에서 3만 5천여 명의 민간인이 학살됐고 피카소가 '한국에서의 학살'을 그림으로 그렸다 왕검(王儉)이 평양성에서 단군조선(檀君朝鮮)을 건국하여 홍수로 대동강이 넘치자 아사달로 천도했고 장당경(藏唐京)으로 환도했다 다시 아사달로 환도하여 9월 9일에 승천하여 신(神)이 되었다 아사달(阿斯達)은 구월산으로 비정..

카테고리 없음 2024.02.0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북한여행 특집 / 4 정방산)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북한여행 특집 / 4 정방산) 정방산(正方山)은 황해북도 사리원시 동북쪽 문현리와 황주군 침촌리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 480m의 낮은 산이다 천성봉 모자산 노적봉 대각산 4개의 산마루가 정방형을 이룬다 하여 정방산이라 한다 장방산 단애성벽(斷崖城壁)에 고려 초기에 축성해 조선 후기에 개축한 둘레 12㎞ 크기의 정방산성(正方山城)이 있다 남장대 서장대 동장대 안국장대 무기창고 군량창고 등과 성불사(成佛寺)이 있다 성불사 깊은 밤에 그윽한 풍경 소리 주승은 잠이 들고 객이 홀로 듣는구나 저 손아 마저 잠들어 혼자 울게 하여라 뎅그렁 울릴 때면 더 울릴까 맘 졸이고 끊일 젠 또 들릴까 소리나기 가다려져 새도록 풍경소리 데리고 잠못이뤄 하노라 이은상의 시조에 홍난파가 작곡한 가곡 ..

카테고리 없음 2024.02.0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북한여행 특집 / 3 백두산)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북한여행 특집 / 3 백두산) 원숭이 똥구멍은 빨개 빨가면 사과 사과는 맛있어 맛있으면 빠나나 빠나나는 길어 길으면 기차 기차는 빨라 빠르면 비행기 비행기는 높아 높으면 백두산 백두산 뻗어내려 반도 삼천리 무궁화 이강산에 역사 반만년 대대로 이에사는 우리 삼천만 복되도다 그 이름 조선이로세 1930년 이은상이 작사하고 현제명이 곡을 붙여 동아일보 대현상모집에 당선된 '조선의 노래'이다 1938년 조선총독부에서 금지했다 해방이 되자 '조선의 노래'는 '대한의 노래'로 다시 불려졌다 백두산(白頭山)은 우리민족의 성산으로 북한과 중국의 국경에 위치했다 천지는 칼데라 호수 중에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했다 천지(天池)의 물은 장백폭포(비룡폭포)로 낙하하여 쑹화강의 발원이 된다 최..

카테고리 없음 2024.02.0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북한여행 특집 / 2 묘향산)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북한여행 특집 / 2 묘향산) 묘향산은 묘향산맥의 주봉으로 산이 웅장하고 빼어나게 아름다워 수이장(秀而壯)이라고 하였다 향나무(香木)와 김탕나무(冬靑) 향기로운 나무가 많아 묘향산이라 하였다 호국불교의 요람인 보현사가 남아 있다 묘향산맥은 낭림산맥에서 서남쪽으로 뻗어내려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의 도계를 이룬다 북쪽에는 청천강이 흐르고 남쪽에는 대동강이 흐른다 1,909m 묘향산은 묘향산맥의 중앙에 위치한다 행정구역은 평양직할시 모란봉구역 향암리이다 묘향산은 북묘향(北妙香)이라 하여 동금강(東金剛) 남지리(南智異) 서구월(西九月) 등과 함께 우리나라4대 명산으로 꼽힌다 교룡(蛟龍)이 살았다는 용연(龍淵)과 교룡이 승천하였다는 용암(龍巖)이 있다 환인(桓因)의 아들 환웅(桓雄)이 3,0..

카테고리 없음 2024.02.0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북한여행 특집 / 1 금강산)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북한여행 특집 / 1 금강산) 강소천이 작사하여 나운영이 곡을 붙인 동요 '금강산'이다 금강산(金剛山)은 북한 금강군 고성군 통천군에 걸쳐있는 우리나라 최고의 명산이다 금강산은 서쪽을 내금강, 동쪽을 외금강, 외금강 남쪽을 해금강으로 구분한다 비로봉 명경대 구룡폭포 등 수많은 천연기념물이 있다 봄에는 온 산이 새싹과 꽃에 뒤덮여서 금강산(金剛山), 여름에서 녹음이 깔려 신선이 살아 봉래산(蓬萊山), 가을에는 일만 이천 봉이 단풍으로 물들어서 풍악산(楓嶽山), 겨울에는 바위들이 앙상한 뼈처럼 드러나서 개골산(皆骨山)이라고 부른다 금강산의 사찰들은 숭유억불 정책으로 유점사 장안사 표훈사 신계사 등 4대 사찰을 제외하고 모두 폐사됐다 표훈사를 제외하고 한국전쟁으로 4대 사찰마저 파괴됐..

카테고리 없음 2024.02.0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김수항)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김수항) 김수항은 종2품 동지중추부사 김광찬의 아들이다 아버지가 정1품 좌의정 김상헌의 양손자로 입적됐고 큰형은 공조판서 김수증이고 중형은 영의정 김수홍이다 김수항은 23세에 문과 장원으로 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했다 1차 예송논쟁에서 송시열 송준길을 지지하여 승리했고 대제학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했다 2차 예송논쟁에서 패배하여 파면됐다 숙종이 즉위하여 죄의정이 되어 윤휴를 탄핵하려다가 강원도 원주로 유배되어 전라도 영암으로 이배됐다 김수항은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실각하고 서인이 장악하자 영의정이 되었다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실각하고 남인이 장악하자 전라도 진도로 유배되어 위리안치 되었다가 배소에서 사사(賜死)됐다 장남은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이고 차남은 예조판..

카테고리 없음 2024.02.03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탕평책)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탕평책) 노론은 서인 가운데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노장파로 남인에 대한 강력한 탄압을 주장한 강경파이다 소론은 경신환국 이후 재집권한 서인 중에서 남인에 대한 강력한 탄압을 반대한 온건파이다 희빈장씨는 소론의 지원을 받아 왕후에 책봉됐고 아들 경종이 임금이 되었다 숙빈최씨는 노론의 지원을 받아 무수리에서 후궁까지 되어 아들 영조가 임금이 되었다 영조는 즉위하여 탕평책을 실시했으나 노론을 중심으로 정권을 유지했다 무수리는 고려 및 조선 시대 궁중에서 청소 등을 비롯하여 세숫물 떠다드리기 등 허드렛일을 맡았었던 여자 종을 말이다 영조는 무수리 출신인 숙빈최씨의 아들의 컴플렉스를 안고 태어났다 정성왕후 서씨는 제21대 국왕 영조의 정비이나 남편과의 불화로 소생은 없었다 효장세자는 조..

카테고리 없음 2024.02.0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5 고구려부흥운동)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고구려특집 / 15 고구려부흥운동) 고구려는 신라의 문무왕과 당나라 고종의 나당연합군에 멸망했다 당나라는 백제와 고구려를 정복하고 백제 땅에 웅진도독부를, 고구려 땅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했다 신라는 나당전쟁에 승리하여 만주 땅을 당나라에 빼앗기고 대동강 이남을 차지했다 신라 진덕여왕과 당나라 태종은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대동강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하는 군사동맹을 맺었다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당고종이 만주는 물론 한반도 전체를 당나라에 편입하려 책동했다 나당전쟁(羅唐戰爭)은 670년부터 676년까지 신라가 당나라를 한반도에서 몰아내기 위한 전쟁이다 신라와 고구려 부흥군이 연합하여 백제 지역을 공격하여 백제의 옛 땅을 회복했다 당나라 설인귀가 패배하자 대동강 이북으로 철수했..

카테고리 없음 2024.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