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 3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국회의원특집 / 1 제1공화국과 총선)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국회의원특집 / 1 제1공화국과 총선) 1948년 제헌의회는 임기 2년의 200명을 소선거구제로 선출했다 남북분단으로 남한만의 단독선거로 치러졌고 이승만의 대한독립 촉성국민회가 55석에 불과했다 제헌의회에서 헌법을 제정하고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했다 1950년 2대 총선은 임기 4년의 210명을 소선거구제로 선출했다 무소속이 126석을 얻었고 야당이 제1당이 되어 이승만의 대한독립 촉성국민회가 제3당이 되었다 이승만은 2대 대선에서 당선이 불투명하게 되자 대통령 직선제로 발췌개헌했다 1952년 이승만 정부는 직선제와 국회 양원제를 골자로 하는 개헌안을 제출했다 정부안이 부결되자 국회에서 내각제를 골자로 하는 수정안을 제출했다 이승만은 연임을 목적으로 대한민국 헌정사상 첫 번째 친위..

카테고리 없음 2024.11.1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진산사건)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진산사건) 조상에 제사를 지내는 문제에 대해 예수회는 문화적 관습이라 주장했고 프란치스코회와 도미니코회는 우상숭배라고 비난했다 로마교황청 클레멘스11세 교황은 조상 제사를 금지를 선언했다 윤지충(尹持忠)은 본관은 해남이며 윤선도의 6대손이다 전라도 진산군에서 태어나서 진사시에 합격하고 정약종 정약용 등을 통해 천주교를 배워 이승훈에게 세례를 받았다 윤지충은 모친이 사망하자 신주를 만들지 않고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권상연(權尙然)은 본관은 안동이며 전라도 진산군 출신이다 외사촌형인 윤지충에게 천주교 교리를 배웠다 권상연은 부친의 신주와 위패를 불태우고 모친이 사망하자 조문객을 받지 않고 천주교 방식으로 장례를 치렀다 정조는 무부무군(無父無君)의 사상을 신봉하였다는 죄명으로 윤지충과..

카테고리 없음 2024.11.0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불천위)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불천위) 기제사(忌祭祀)는 기일에 지내는 제사라는 뜻으로 신주(神主)를 모시고 4대 봉사를 한다 4대봉사(四代奉祀)는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까지 4대에 걸쳐 제사를 받든다는 뜻이다 장자손(長子孫)을 기준으로 고조(高祖)까지를 말한다 5세를 넘기는 조상의 제사의 대상에서 벗어나는 5세즉천(五世則遷)의 원칙에 따라 신주(神主)를 4대손이 모두 죽을 때까지 사당에 모시다가 매안(埋安)하여 산소에 묻고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불천위(不遷位)는 예외적으로 신위(神位)를 사당에서 빼 옮기지(遷) 않고(不) 후손들이 대대로 계속 제사를 지내는 허용하는 제도로 부조지전(不祧之典)이라 한다 부조묘(不祧廟)는 불천위 제사의 대상이 되는 신주를 둔 사당을 말한다 문묘(文廟)에 종사된 동방 18..

카테고리 없음 2024.11.0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태리 건국 삼걸전 특집 / 5 카보우르)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태리 건국 삼걸전 특집 / 5 카보우르) 카밀로 벤소 카보우르(Camillo Benso di Cavour)는 주세페 가리발디, 주세페 마치니와 함께 이탈리아 통일의 3걸이라고 불린다 이탈리아 북서부 토리노에서 왕족 출신으로 태어나서 토리노 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카보우르는 1847년 '국가재흥'지를 발간하여 이탈리아의 통일을 제창했다 사르데냐왕국 의원을 거쳐 우익당의 당수를 비롯해 농업장관 겸 재무장관 총리 등을 역임했다 파리평화회의에서 이탈리아의 통일을 유럽의 중요 문제로 인식시켰다 카보우르는 1859년 사르데냐왕국-프랑스 연합군이 오스트리아군을 무찌르고 이탈리아 북부를 점령했다 1861년 가리발디를 원조하여 에마누엘레 2세를 초대 국왕으로 즉위시켜 이탈리아왕국을 건국했다 사르데..

카테고리 없음 2024.11.0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태리 건국 삼걸전 특집 / 4 가리발디)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태리 건국 삼걸전 특집 / 4 가리발디) 주세페 마리아 가리발디 (Giuseppe Maria Garibaldi)는 주세페 마치니, 카밀로 카보우르와 더불어 이탈리아 통일 3걸로 꼽힌다 지중해 연안의 리스에서 선장의 아들로 태어나서 사르데냐왕국의 해군에 복무하며 민족주의를 깨달았다 가리발디는 1834년 이탈리아 통일을 추진하던 마치니에게 감화되어 '청년 이탈리아당'에 입당했다 피에몬테 봉기에 참여하여 사형선고를 받게 되자 대서양을 건너가서 아르헨티나 대초원에서 남미의 독립과 행방을 이해 헌신했다 가리발디는 1848년 망명지에서 14년 만에 이탈리아 통일을 위해 귀국하여 로마공화국 사수를 위해 싸웠으나 패배하고 다시 망명했다 1860년 '붉은 셔츠단'을 조직하여 시칠리아와 나폴리를..

카테고리 없음 2024.11.0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태리 건국 삼걸전 특집 / 3 마치니)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태리 건국 삼걸전 특집 / 3 마치니) 주세페 마치니(Giuseppe Mazzini)는 이탈리아 통일 삼걸의 한 명으로 제노바에서 의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제노바대학에서 법률을 전공하고 변호사가 되어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고있는 이탈리아의 독립과 통일을 위해 운동을 시작했다 마치니는 1829년 이탈리아 통일을 추구한 비밀결사 조직인 '카르보나리당'에 가입하여 오스트리아와 싸우다가 체포되어 프랑스로 망명했다 1831년 공화주의와 통일주의를 주창하며 비밀 혁명단체인 '청년 이탈리아당'을 창당했다 마치니는 "교황도 국왕도 아닌, 신과 민중들만이 우리에게 미래의 길을 열어줄 것이다"라고 선언했다 봉기는 실행에 옮기기도 이전에 발각되어 12명이 처형되고 마치니는 궐석재판에서 사형선고를 받..

카테고리 없음 2024.11.0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태리 건국 삼걸전 특집 / 2 이탈리아 통일)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태리 건국 삼걸전 특집 / 2 이탈리아 통일) 이탈리아는 이탈리아 반도에서 기원전 753년부터 기원전 509년까지 로마왕국, 기원전 509년부터 기원전 27년까지 로마 공화정, 27년부터 476년까지 서로마 제국으로 이어졌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고 할 정도로 세계의 중심으로 자리했다 서로마제국이 멸망하자 북부 이탈리아, 중부 이탈리아, 남부 이탈리아, 사르데냐로 분할됐다 프랑크왕국 신성로마제국의 통치를 받았으며 르네상스의 중심지가 되었다 다시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의 지배를 받았다 1848년 이탈리아 반도에서 양시칠리아왕국의 강압 통치에 저하하며 봉기가 일어났다 프랑스 독일 폴란드 헝가리 교황령 등 유럽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봉기가 확산됐다 이탈리아의 봉기는 오스트리아와 프랑스..

카테고리 없음 2024.11.04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태리 건국 삼걸전 특집 / 1 신채호 & 주시경)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이태리 건국 삼걸전 특집 / 1 신채호 & 주시경) '이태리 건국 삼걸전(意太利建國三傑傳)'은 량치차오가 1902년 저술하여 신채호와 주시경이 번역하여 조선에 소개됐다 '이태리 건국 삼걸전'은 19세기 이탈이 통일 과정에서 활약한 마치니 가리발디 카부르 등 세 영웅을 소개한 책이다 량치차오(梁啓超)는 청나라 말기와 중화민국 초기의 중국의 언론인 정치가 저술가이다 캉유웨이(康有爲)의 제자로 변법자강운동이 실패하자 일본으로 망명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지했다 '이태리 건국 삼걸전' 등을 저술했다 신채호(申采浩)는 사회주의 아나키즘 성향의 독립운동가로 일체의 타협주의를 배격하고 폭력혁명론을 주장했다 신채호는 1907년 량치차오의 '이태리 건국 삼걸전'을 번역하여 보급했다 뤼순감옥에서..

카테고리 없음 2024.11.03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사찰 특집 ⑫ 무등산의 증심사 원효사 규봉암

[역사 속 전라도] 전라도사찰 특집 ⑫ 무등산의 증심사 원효사 규봉암 서일환 언론학박사·행복한요양병원 본부장 무등산(無等山)은 광주광역시 동구·북구,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이서면, 담양군 가사문학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최고봉은 천왕봉으로 1,187 M이다. 대한민국 21번째 국립공원이자 산림청이 선정한 100대 명산이며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한국관광 100선이다. 백제 때 무진악(武珍岳), 고려 때 서석산(瑞石山), 조선 때 무등산(無等山) 등으로 불렸다. 밤낮의 기온차가 크고 강한 광선과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무등산 북쪽 산기슭에서만 무등산 수박이 재배된다. 무등산은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서석대, 입석대, 광석대 등 주상절리대와 풍화작용으로 형성된 지공너덜, 덕산너덜 등 너덜겅은 대한민..

카테고리 없음 2024.11.02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딸의 결혼에 붙여)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딸의 결혼에 붙여) 안녕하십니까? 고맙습니다. 저는 신랑 김영재 군의 장인이자, 신부 서채린 양의 아버지 서일환 입니다. 겨울을 재촉하는 비가 내리는데 바쁘신 가운데 결혼식을 함께 해주시기 위해 멀리서 오신 친지와 사돈, 그리고 선후배님과 친구, 동료 모두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또한, 이 자리에 오시지는 못하셨지만, 마음을 보내주신 분들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오늘은 듬직한 사위를 처가에서 맞이하고 귀여운 딸을 시댁으로 보내는 날입니다. 그리고 결혼 기념으로 열한 번째 서일환 박사의 역사야톡을 출간하는 날입니다. 사마천은 사기에 남자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고, 여자는 자기를 기쁘게 해주는 사람을 위하여 얼굴을 꾸민다고 하였습니다. 먼저..

카테고리 없음 202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