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 3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도화랑)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도화랑) 신라 24대 진흥왕(眞興王)은 백제 근초고왕과 고구려 광개토대왕과 더불어 대표적인 정복군주이다 진흥왕은 사도태후과 사이에 동륜태자와 사륜왕자를 낳았다 동륜태자는 왕태자에 책봉됐으나 요절했다 진흥왕이 사망하자 사륜왕자가 25대 진지왕(眞智王)으로 즉위했다 도화녀(桃花女)는 미천한 신분으로 태어난 미인으로 복사꽃처럼 화사하여 도화랑(桃花娘)이라 불렀다 진지왕이 미녀 도화랑의 소문을 듣고 서라벌 궁궐로 불러 동침을 요구했다 도화랑은 남편이 있는 아녀자가 두 남자를 섬길 수 없다면서 거절했다 진지왕이 목숨을 위협하며 남편이 없다면 동침할 수 있냐고 묻자 도화랑은 남편이 없다면 몰라도 남편이 있는 몸으로 목숨이 달아나도 동침할 수 없다고 다시 대답했다 사도태후가 일으킨 정변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24.05.11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장경)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대장경) 대장경(大藏經)은 석가의 설법을 기록한 경장으로 경(經) 율(律) 논(論) 삼장(三藏)을 총망라한 책으로 불교성전(佛敎聖典)의 총칭이다 부처님이 돌아가시자 제자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집대성한 것이다 대장경에는 티베트대장경(西藏大藏經) 팔리어대장경(三藏大藏經) 북송대장경(北宋大藏經) 거란대장경(契丹大藏經)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등이 있다 고려대장경은 고려에서 외침을 막고자 간행한 대장경을 말한다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로 거란 여진 몽골 등 북방의 유목 부족 국가들의 침입을 부처에 대한 믿음으로 외적을 막아내기 위해 대장경을 제작했다 초조대장경 속장경 팔만대장경 등이 있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은 거란족 요나라가 침략하자 불심(佛心)으로 난국을 극복하기 위해 대구 부..

카테고리 없음 2024.05.10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의 간신 특집 / 5 남곤 & 심정)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의 간신 특집 / 5 남곤 & 심정) 남곤(南袞)은 경상도 밀양 출신으로 갑자사화를 일으킨 임사홍의 고종사촌 동생이다 김일손 김굉필 정여창 등과 함께 점필재 김종직의 문하에 수학하여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했다 성종의 외척인 윤필상을 탄핵하다가 오히려 투옥됐다 남곤은 청요직을 거치면서 연산군의 행동에 간언하고 훈구파 대신들의 부패와 전횡을 규탄했다 갑자사화로 유배됐고 중종반정이 성공하자 석방되어 명나라에 연산군 폐출의 정당성을 설파하고 심정과 함께 류자광을 정계에서 축출했다 남곤은 대제학이 되어 조광조 박상 김정 등의 단경왕후 신씨(愼氏)의 복위상소를 반대하여 변절자라고 규탄을 받았다 남곤은 조광조의 급진적 개혁에 반대하며 대립했다 남곤은 심정 홍경주 등과 함께 조광조 제..

카테고리 없음 2024.05.09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의 간신 특집 / 4 이극돈)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의 간신 특집 / 4 이극돈) 이극돈(李克墩)은 청백리로 정3품 참의를 지낸 이지직의 손자이자 계유정난과 세조찬위의 주역이자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의 아들이다 또한 영의정 이극배, 형조판서 이극감, 우찬성 이극종의 동생이자 좌의정 이극균의 형이다 이극돈은 어려서부터 문장이 뛰어났고 문제에 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했다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와서 정3품 예조참의에 이어 종2품 대사헌으로 승진했다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녹선됐고 광원군(廣原君)에 봉군됐다 이극돈은 부패와 전횡을 일삼는 신료들을 탄핵했고 폐비윤씨를 왕비를 책봉하고 주청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5도의 관찰사와 이조판서 병조판서 우찬성 좌찬성 등을 역임했다 훈구파를 대표하여 사림파의 집중적인 견제를 받았다 ..

카테고리 없음 2024.05.08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의 간신 특집 / 3 임사홍)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의 간신 특집 / 3 임사홍) 임사홍(任士洪)은 개국공신 남재의 후손이며 종1품 좌찬성 임원준의 아들이며 정1품 영의정 남곤의 외사촌형이다 효령대군의 손녀딸과 혼인하여 음서로 출사하여 성균관에 입학했다 예종의 딸 현숙공주와 성종의 딸 휘숙옹주의 시아버지이다 임사홍은 세조 때 한명회와 신숙주의 월권행위를 비판했고 남이와 강순이 역모죄로 탄핵당하자 비호하며 류자광을 비난했다 성종의 총애를 받아 종3품 예조참의, 정3품 도승지, 정2품 이조판서로 승진했다 임사홍은 세자의 생모인 폐비윤씨의 폐비를 반대하여 사람파로부터 인신공격을 당했다 임사홍은 류자광과 더불어 도승지 현석규를 음해하다가 오히려 유배됐다 정3품 도승지로 승진했으나 류자광과 함께 파당을 만들었다는 이유로 다시 유배됐다 ..

카테고리 없음 2024.05.07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의 간신 특집 / 2 류자광)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의 간신 특집 / 2 류자광) 류자광(柳子光)은 경주부윤을 역임한 류규(柳規)의 서얼(庶孼)로 태어나서 과거를 보지 못해 경복궁 문지기를 하였다 세조를 반대하는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자 종군하여 적개공신에 책록됐다 류자광은 세조의 총애를 받아 정5품 병조정랑에 올랐고 별시에 급제하여 정3품 병조참지에 올랐다 예종의 비호를 받아 남이와 강순을 역모죄로 무고(誣告)하여 처형하고 익대공신에 책록되어 무령군(武靈君)에 봉해졌다 류자광은 성종의 총애를 받아 종1품 좌찬성에 올랐으나 부정부패 혐의로 탄핵을 받아 유배됐고 정2품 도총관에 복귀했다 성종실록 편찬 과정에서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문제삼아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서 종1품 숭록대부로 승진했다 김종직은 남이 역모를 조작..

카테고리 없음 2024.05.06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의 간신 특집 / 1 간신)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조선의 간신 특집 / 1 간신) "오나라 왕이 검객을 좋아하면 백성들은 칼에 벤 상처가 많고, 초나라 왕이 호리호리한 허리를 좋아하면 궁중에는 굶어 죽는 여자가 많다. “임금이 아첨하는 말을 좋아하면 아첨하는 간신배가 될 수밖에 없다는 중국의 속담이다 한나라의 사학자인 유향(劉向)은 외척과 환관의 전횡을 탄핵하다가 2차례의 옥고를 치렀다 유향은 나라에 해로운 사악한 신하를 구신(具臣) 유신(諛臣) 간신(奸臣) 참신(讒臣) 적신(賊臣) 망국신(亡國臣) 등 여섯 가지 '육사신(六邪臣)'으로 구분했다 구신(具臣)은 군주의 눈치를 살피며 자리나 지키는 신하이고 유신(諛臣)은 군주를 한없이 칭찬하며 비위를 맞추는 신하이며 간신(奸臣)은 어진 이의 등용을 방해하고 상벌이 교란되게 만드는 신..

카테고리 없음 2024.05.05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미네르바 성냥갑)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미네르바 성냥갑) 역사는 언제나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한 번은 비극의 형태로, 다음에는 우스꽝스러운 희극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때로는 상이한 형태의 비극들로 계속 반복되기도 한다. 하지만 거기에는 몇몇 법칙,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들이 있으며, 그것에 비추어 볼 때 역사학은 수사학적 의미가 아닌 지극히 과학적인 의미에서 여전히 "삶의 스승"이다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의 ‘미네르바 성냥갑’의 일부이다 움베르토 에코는 이탈리아 피에몬테 알레산드리아 출신의 미학자이자 소설가이며 역사학자이다 40개의 명예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으며 볼로냐 대학의 교수로 재직했다 ‘미네르바 성냥갑’은 이탈리아 주간지 ‘레스프레소(L'Espresso)’에 기고한..

카테고리 없음 2024.05.04

[역사 속 전라도] 가사문학특집 ⑤ 명옥헌 원림과 오희도

[역사 속 전라도] 가사문학특집 ⑤ 명옥헌 원림과 오희도 서일환 언론학박사·행복한요양병원 본부장 정원(庭園)은 궁궐, 사찰, 사원, 주택 등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계곡, 동산 등에 인공적으로 정자를 짓고, 연못을 파고, 나무를 심어 만든 공간이다. 중국 정원은 인공적으로 신선 세계를 재현한 분경식 정원이고 일본 정원은 자연경관을 인공적으로 조성한 그림 같은 정원이다. 한국 정원은 자연 상태의 계곡 숲에 정자나 연못을 만들어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이룬 자연 친화적 정원이다. 원림(苑林)은 자연에 인공을 가하여 정자를 짓고 꽃과 나무를 심어 생활 공간으로 창덕궁 후원, 보길도 부용동 원림, 강진 백운동 원림, 담양 명옥헌 원림 등이 있다. 헌(軒)은 대청마루가 널은 건물로 공무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경복궁의 원..

카테고리 없음 2024.05.03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후삼국특집 / 5 고려 왕건)

(서일환의 역사이야기 / 후삼국특집 / 5 고려 왕건) 왕건(王建)은 도선국사가 '내년에는 반드시 귀한 아들을 낳을 것이니 이름을 왕건(王建)이라 하시오' 라는 예언을 받고 왕륭과 한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려사에 "왕건이 태어날 때 신비한 광채와 자줏빛 기운이 방 안 가득 빛났다" 라고 기록했다 왕륭과 왕건 부자는 궁예에게 송악을 바치고 휘하에 들어가서 활약했다 왕건은 광주 충주 청주 등을 점령하고 태봉국의 세력을 넓혀 아찬(阿粲) 위계를 받았다 궁예의 명으로 나주를 정복하고 후백제의 배후를 위협하여 알찬(閼粲)으로 승진했다 왕건은 나주의 한 우물가에서 물을 청하자 바가지에 버들잎을 뛰어서 주던 오씨 처녀와 결혼하여 훗날 제2대 혜종으로 즉위하는 아들 무(武)를 낳았다 왕건은 파진찬(波珍飡) 겸 시중(侍..

카테고리 없음 2024.05.02